1. 수면생리
1) 수면조절 중추
· 각성유지방법
①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시상을 통해 대뇌피질로 신경 신호를 보내 각성을 유지
② 카테콜라민, 세로토닌, 멜라토닌, 히스타민 등의 모노아민이 관여(시상하부를 통해서)
* 망상체: 연수~중뇌까지의 신경집합체가 각성의 관여
2) 서카디언 리듬(=생체리듬)
: 24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리듬,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환경 변화를 예측, 대비, 주요생체기능 조절
3) 수면단계
(1) 비렘수면(NREM)
- dreamless(꿈x), profound restfulness(깊은 휴식), BP, 호흡, 눈 움직임↓, meatabolic rate(물질대사 저하)
(2) 렘수면(REM)
- profound musle realaxauion (근이완), 호흡 증가 혹은 불규칙,
convulsion 잘 나타남 (깜짝 놀라며 일어남), 남자penile erection=발기,
complete realaxauion of the low jaw(아래턱 벌어짐=침흘림)
4) 수면주기
<9:1 비율>
90분 NREM/ 10분 REM
5) 수면의 생체 기능
·정상적인 활동수준과 신경계 정상적 균형 회복
·단백질 합성에 필수적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
·심장기능 보존
·특수 세포재생 및 신생
·성장호르몬 생산
·에너지 보존
·문제해결, 새로운 통찰력 제공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