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전자정부론A+] 강의 필기 노트, 중간 기말 대비, 기출표시
- 최초 등록일
- 2021.01.01
- 최종 저작일
- 2020.12
- 64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목차
1. 지식정보사회에서 지능정보사회까지의 사회변화
2. 전자정부의 등장과 진화
3. 전자정부 기반 및 지원체계
4. 행정정보시스템 도입 및 적용
5.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6. IT 기술의 발전과 공공부문의 변화
7. 전자거버넌스의 이해와 방향
8. 4차 산업혁명 시대와 ICT 거버넌스
9. 미래사회의 행정패러다임 변화
10. 지역사회 맞춤형 서비스 시대의 도래
11. 스마트 시티
12. 전자정부의 역기능과 대응방법
본문내용
1. 정보사회의 개념들
⑴자료(data) : 가공되지 않은 물질 or 자료
: 인간, 컴퓨터가 해석·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한 사실 및 개념의 표현을 어떠한 조건·값·상태로 나타내는 숫자나 문자. ⑵정보(information) : 어떤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의 집합
⑶지식 : 정보가 의미 있게 조직화되고 축적된 것. 모두에게 인정되고 활용될 수 있는 검증된 정보. ⑷그 외 : 정보화, 정보사회, 정보사회화 등
2. 지식
⑴개인지식, 조직지식
- 개인지식 : 개인이 체화하고 보유한 지식 ex.지식인
- 조직지식 : 조직 내에 축적되고 남겨지는 지식 ex.위키피디아
⑵축적지, 활용지
- 축적지 : 현재 보유하거나 획득한 지식
- 활용지 :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지식
⑶암묵지, 형식지
- 암묵지 :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주관적 지식 / 개인, 집단의 차원에서 경험이나 문화로 획득&누적 /
은유 · 비유 · 시범을 통한 전달 / 타인에게 전수하기가 어려움. ex. 자전거 타기 등
- 형식지 : 언어로 표현 가능한 객관적 지식 / 언어(또는 문자)를 통해 습득된 지식 / 언어를 통한 전달
/ 타인에게 전수하기 쉬움 ex. 책, 블로그, 웹문서 등
⑷환경적 지식, 기업적 지식, 내부 지식
- 환경지식 : 환경으로부터 조직으로 투입되는 정보를 지식으로 축적한 것
- 기업적 지식 : 기업과 관련된 외부인으로부터 투입되는 정보를 지식으로 축적한 것
- 내부지식 : 조직구성원의 정신과 조직 자체의 정신 속에 축적되는 지식
⑸사물지, 사실지, 방법지
- 사물지 : 사물 존재자체에 대한 인지상태
- 사실지 : 한 개인이 ‘~라는 것을 안다’라고 할 때의 지식
- 방법지 : 인간의 욕구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아는 것
3. 정보관리와 지식관리의 개념
⑴정보관리
- 조직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 활용 · 저장 · 전달하는 활동과 그에 필요한 지원 장치를 통제 · 관리 하는 것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