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간호학 요약
- 최초 등록일
- 2020.12.09
- 최종 저작일
- 2020.11
- 19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000원
* 본 문서는 PDF문서형식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소개글
"정신건강간호학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신건강과 정신질환
1) 정신건강
2) 정신질환
3) 회복탄력성
4) 문화
5) 정신질환 역학
6) DSM-5
7) 정신건강간호
8) 정신간호사의 자격
2. 정신건강간호의 역사
1) 서양의 정신치료 역사
2) 서양의 정신건강간호의 역사
3) 우리나라 정신치료 역사
4) 우리나라 정신건강간호의 역사
본문내용
<정신건강>
- WHO: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고, 생산적인 활동을 할 수 있으며, 공동체 이익에 기여할 수 있을 때 정신상태가 건강한 것
-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화
- ‘이상하고’, ‘다른 것’으로 여겨지는 것, 즉 규범에서 벗어난 이상행동에 적용하였음
<정신질환>
- 진단을 내릴 수 있는 모든 정신장애를 의미
- 발달적, 생물학적, 심리학적 정신기능에 심각한 역기능 초래
-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규범에서 벗어나는 행동일지라도 정신기능에 심각한 장애가 없는 한 정신질환이라고 할 수 없다.
-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은 정신건강-정신질환 연속선에 따를 관점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제 5판): 157가지의 질환을 분류하며 많은 질환의 증상이나 원인이 문화적, 민족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는 근거 제시
<회복탄력성>
- 정신건강의 회복과정에서 필수, 회복을 촉진시키는 역할
- 자신의 안녕감을 지지하지 위해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역량
- 특성 : 낙관주의, 사회적 유능감, 문제해결능력
- 극복했던 경험이 전전두엽의 회복을 향상시킴
ex) - 빈곤하거나 학대받는 아이들은 자시들을 이 상황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줄 수 있는 물질적, 심리적 자원을 제공해 줄 신뢰할 만한 사람들을 찾는다.
- 테러로 인한 세계무역센터 붕괴나 재난상황에서 참혹한 상실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서로 도와가며 협력해 나갔던 과정들
<문화>
-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을 구분하는 한 가지 접근은 어떤 특정한 행동이 그 문화권에서 수용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고려하는 것
- 문화적 증후군: 특정한 사회문화적인 상황에서 나타나며, 그 문화권에 있는 사람들은 쉽게 이해
ex) 중동지역의 ‘자살 폭탄범’은 거룩한 전사나 순교자로 생각함
<정신질환 역학>
- 연간 18세 이상의 미국인 중 약 26.2%인 성인 4명 중 1명은 정신질환
- 심혈관질환보다 두 배나 많으며 이 중 3분의 1 이상이 우울증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