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표정리 (선사시대~조선시대)
*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다른 과목에 비해 한국사가 어려운 이유는 하나의 단편적인 내용만을 알아서는 문제를 풀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고득점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건의 흐름과 국가별 차이점 및 시대별 변천과정을 알아야 함은 물론이고, 사건의 배경⋅원인⋅내용⋅전개⋅결과⋅비교 등 모든 관련항목을 함께 공부하여야 합니다.이런 까닭으로 저는 7급 세무직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면서 [한국사 연표정리]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한국사 연표정리]는 왕, 연도, 개요, 내용이란 네 가지 항목에 관련된 모든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저의 수험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에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분류사도 정리하여 완벽한 [한국사 연표정리]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수험생 입장에서 [한국사 연표정리]가 수험생이 원하는 책이 되게끔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비교표를 최대한 활용하여 서술식 방식에서 탈피하였습니다. 단순한 사료의 첨가가 아닌 사료를 철저히 분석하였습니다. 중요 부분에 색상을 넣어 눈에 잘 띄게 하였습니다. 명쾌한 용어 설명으로 이해가 쉽도록 하였습니다. 참신한 암기요령과 설명으로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제 새롭게 탄생한 [한국사 연표정리]가 가장 효율적인 한국사 공부의 세계로 여러분을 인도할 것입니다.
[책의 특징]
∙분류사를 통해 전체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대사를 통해 사건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배경⋅내용⋅전개⋅결과⋅비교 등 관련된 항목을 함께 공부할 수 있습니다.
∙헷갈리기 쉬운 부분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활용 방법]
∙관련된 모든 사항을 한번에 공부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문제를 풀면서 애매한 부분을 정리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필요한 부분을 빨리 찾아보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한국사의 흐름을 단기간에 정리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목차
1. 선사시대○ 구석기시대
○ 중석기시대
○ 신석기시대
○ 청동기시대
○ 철기시대
○ 고조선
○ 위만조선
○ 부여
○ 초기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한
2. 삼국시대
○ 박혁거세[신] (기원전 57)
○ 동명성왕[고] (기원전 37)
○ 온조[백] (기원전 18)
○ 유리왕[고] (3)
○ 김수로[가] (42)
○ 태조왕[고] (53~146)
○ 고국천왕[고] (179~197)
○ 동천왕[고] (227~248)
○ 고이왕[백] (234~286)
○ 금관가야
○ 미천왕[고] (300~331)
○ 고국원왕[고] (331~371)
○ 소수림왕[고] (371~384)
○ 근초고왕[백] (346~375)
○ 침류왕[백] (384~385)
○ 내물왕[신] (356~402)
○ 광개토대왕[고] (391~413)
○ 장수왕[고] (413~491)
○ 눌지왕[신] (417~458)
○ 비유왕[백] (427~455)
○ 개로왕[백] (455~475)
○ 문주왕[백] (475~477)
○ 동성왕[백] (479~501)
○ 소지왕[신] (479~500)
○ 대가야
○ 문자왕[고] (491~519)
○ 지증왕[신] (500~514)
○ 무령왕[백] (501~523)
○ 법흥왕[신] (514~540)
○ 성왕[백] (523~554)
○ 위덕왕(창왕)[백] (554~598)
○ 진흥왕[신] (540~576)
○ 진평왕[신] (579~632)
○ 영양왕[고] (590~618)
○ 무왕[백] (600~641)
○ 영류왕[고] (618~642)
○ 선덕여왕[신] (632~647)
○ 진덕여왕[신] (647~654)
○ 무열왕[신] (654~661)
○ 의자왕[백] (641~660)
○ 보장왕[고] (642~668)
○ 문무왕[신] (661~681)
○ 신문왕[통] (681~692)
○ 효소왕[통] (692~702)
○ 성덕왕[통] (702~737)
○ 고왕[발] (698~719)
○ 무왕[발] (719~737)
○ 문왕[발] (737~793)
○ 경덕왕[통] (742~765)
○ 혜공왕[통] (765~780)
○ 원성왕[통] (785~798)
○ 헌덕왕[통] (809~826)
○ 선왕[발] (818~830)
○ 흥덕왕[통] (826~836)
○ 진성여왕[통] (887~897)
○ 효공왕[통] (897~912)
○ 경명왕[통] (917~924)
○ 애왕[발] (906~926)
○ 경순왕[통] (927~935)
3. 고려시대
○ 태조 (918~943)
○ 혜종 (943~945)
○ 정종 (945~949)
○ 광종 (949~975)
○ 경종 (975~981)
○ 성종 (981~997)
○ 목종 (997~1009)
○ 현종 (1009~1031)
○ 덕종 (1031~1034)
○ 정종 (1034~1046)
○ 문종 (1046~1083)
○ 숙종 (1095~1105)
○ 예종 (1105~1122)
○ 인종 (1122~1146)
○ 의종 (1146~1170)
○ 명종 (1170~1197)
○ 신종 (1197~1204)
○ 희종 (1204~1211)
○ 고종 (1213~1259)
○ 원종 (1259~1274)
○ 충렬왕 (1274~1308)
○ 충선왕 (1298, 1308~1313)
○ 충숙왕 (1313~1330, 1332~1339)
○ 충목왕 (1344~1348)
○ 공민왕 (1351~1374)
○ 우왕 (1374~1388)
○ 창왕 (1388~1389)
○ 공양왕 (1389~1392)
4. 조선시대
○ 태조 (1392~1398)
○ 정종 (1398~1400)
○ 태종 (1400~1418)
○ 세종 (1418~1450)
○ 문종 (1450~1452)
○ 단종 (1452~1455)
○ 세조 (1455~1468)
○ 예종 (1468~1469)
○ 성종 (1469~1494)
○ 연산군 (1494~1506)
○ 중종 (1506~1544)
○ 인종 (1544~1545)
○ 명종 (1545~1567)
○ 선조 (1567~1608)
○ 광해군 (1608~1623)
○ 인조 (1623~1649)
○ 효종 (1649~1659)
○ 현종 (1659~1674)
○ 숙종 (1674~1720)
○ 경종 (1720~1724)
○ 영조 (1724~1776)
○ 정조 (1776~1800)
○ 순조 (1800~1834)
○ 헌종 (1834~1849)
○ 철종 (1849~1863)
5. 부록
○ 역대 왕⋅대통령 계보
본문내용
구석기시대 (70만 년 전)주요 사항
① 시작:70만 년 전 (단양 금굴)
② 우리나라에 사람이 살기 시작:직접적인 조상은 아님
③ 도구:뗀석기 (아래 ⓐ⋅ⓑ⋅ⓒ), 골각기
ⓐ 사냥 도구: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슴베찌르개
ⓑ 조리 도구:긁개, 밀개
ⓒ 기타 도구:자르개
④ 구석기시대 구분:석기를 다듬는 방법에 따라 시대 구분
ⓐ 전기:큰 석기 하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 주먹도끼⋅찍개
ⓑ 중기:큰 몸돌에서 떼어 내어 용도에 맞게 잔손질, 한 가지 용도로 사용, 긁개⋅밀개⋅찌르개⋅자르개
ⓒ 후기:쐐기를 이용하여 형태가 동일한 도구를 규칙적⋅반복적으로 제작, 돌날격지⋅슴베찌르개
⑤ 사회:평등 사회 (원시 공동체 사회, 경험이 많은 연장자가 무리를 이끎), 무리 사회
⑥ 생활:이동 생활, 사냥⋅어로⋅채집 활동, 불과 언어 사용
⑦ 주거:동굴,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 (후기) - 막집에는 기둥 자리, 담 자리, 불땐 자리 존재
⑧ 예술:동굴 벽에 짐승을 그리거나 조각품 제작 (사냥의 성공과 풍요 기원, 주술적 의미)
⑨ 유적지
ⓐ 발굴 관점:종성 동관진 (함북), 웅기 굴포리 (함북), 공주 석장리 (충남)
ⓑ 인골 관점:평양 역포리, 덕천 승리산 동굴 (평남),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충북), 평양 만달리, 청원 두루봉 동굴 (충북)
ⓒ 가장 오래된 유적지:단양 금굴 (충북), 상원 검은모루 동굴 (평남)
ⓓ 기타 유적지:연천 전곡리 (경기), 단양 수양개 (충북), 제천 점말 동굴 (충북)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한국사 연표정리 (근현대시대) 187페이지
- 한국사 연표 10페이지
- 한국사 연표 22페이지
- 한국사능력시험 연표 정리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