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북한의정치
2. 북한연구방법론
3. 북한에 대한 인식
4. 북한의 주민생활과 인권
5. 북한의 군사
본문내용
해방직후의 북한사회상황
●1945. 해방후→ 각계 정파들 새로운 국가건립주도
●1945.11월→ 한국 최초의 기독교정당인 조선민주당 창당-조만식(신탁통치반대 운동 주관)46년 감금된 후 김일성 세력에 의해 살해됨 (소련군 진입으로 좌초)
● 자생적 공산화 불가
초기 북한지도부 구성
● 민족주의세력: 국내파
조만식-(우익 민족진영)
박헌영(좌익 공산진영)
해외파:허가이(소련파)
● 연안파(친 중국): 김두봉, 무정 등
● 소련파: 허가이, 박창옥
● 빨찌산파: 김일성, 박금철, 이효순
※ 다양한 정치연합의 형태
김일성 정권의 등장
● 빨찌산파 (김일성 등의 항일 유격대 세력)
*만주 일대에서 항일무장투쟁(만주파)
*갑산군 보천보 전공을 세워 항일 유격대가 갑산 일원에 맺고 있었던 연고에서 연유한말(갑산파)
● 소련군의 절대적 후원
*소비에트와의 대리인
● 1945. 12월: 조선공산당 책임비서(33세)
1948. 9월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상
김일성
● 스탈린에 의해 선발
● 점령지역 공산화 대리관리자
● 국내정치기반(x), 추종자(x)
● 크레믈린에 맹목적 복종
*소련의 입장☞ 최적임자
김일성 정권의 권력구조(1)
● 1967. 5월: 수령절대주의 구축
*당은 수령의 혁명사상을 실현하는 혁명참모부
● 1972년: 사회주의 헌법 제정
*주석제 채택
● 주석의 위상
*국가원수, 국가의 수반: 모든 권력 장악
*최고사령관, 국방위원회 위원장
*노동당 총비서 1994년 7월8일 사망
김정일 정권의 권력구조(2)
● 국방위원장 중심의 체제
● 1998. 9월: 헌법 개정
*주석제 폐지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국가 최고 직책
● 선군정치 제도화
● 2011년 12월17일 사망
김정은 정권의 권력구조
● 국무위원장, 노동당위원장 중심체제
● 김정은 지위의 변화과정
*2014. 4월: 노동당 규약 및 헌법 개정
-김정은 중심의 국가체제 정립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