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 community (서로에게 선물이 되다, 선물을 주다, community organization)
- 개념 : 지리적 (물리적 경계를 기반, 구성하는 사람들과 조직들의 지리적 분포 강조) / 기능적 (공동의 관심, 이해관계, 정체성을 기반, 특정한 속성 및 이해관계에 기초) / 가상 공동체의 출현 (21c, 전자통신망에서 작동, 공간적 제약을 넘어선 연대, 폭넓은 참여) /
지리적 의미 -> 기능적 의미 (폭넓은 개념)
- 요소 : Hart, 1999, 지역사회자본 / 만들어진 자본 (infra + 문화적 요소) / 인간자본 (기술, 건강, 능력, 교육 + 가족, 이웃, 회사, 정부) / 자연자본
- 기능 : 1974, Gilbert & Specht / 생산, 분배, 소비 (경제), 사회화 (가치 및 지식), 상부상조, 사회통제, 사회통합 (궁극적 목표)
- 관점 : 상실이론 / 보존이론 (기존 지역사회기능 보존 가능, 가정 및 지역사회의 역할 강화) / 개방이론 (여러 기능적 지역사회에 주목, 다양한 사회관계망 포괄적으로 결합)
<좋은 지역사회란??>
- 좋은 지역사회 : 지역사회구성원의 관점 (애정, 안전, 관계, 교육, 고용 등..) / 전문가 관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지역사회)
- 지역사회역량 : community competence, 사회복지실천의 일차적 관심 / 다양한 구성체가 문제와 욕구 파악에 협력하며, 목표와 우선순위에 대한 합의에 도달,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에 동의, 행동을 취할 수 있는 능력 (1983, Cottrell) / 다양한 인구집단의 상이한 욕구에 반응하는 사회시스템의 능력과 시민들의 능력을 결합한 것 (1981, Barbarin)
- 지역사회역량 향상 조건 : 구성원 헌신, 공유 가치와 이익에 대한 자기인식, 의사소통, 광범위한 의사결정과정에의 참여, 지역사회의 효능감과 임파워먼트에 대한 감각 (1995, Fellin) / 인격적 관계 형성, 권력의 광범위한 분산, 다양한 소득 인종 종교 이익집단으로 구성, 구성원들의 자율권 보장, 협력의 극대화 (2001, War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