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기본간호학 무균술 핵심요약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무균술>
·내과적 무균술(medical asepsis): 미생물을 특정영역 내로 한정시키고, 미생물의 수와 성장 및 전파를 제한시키는 모든 행위=청결
·외과적 무균술(surgical asepsis)=멸균술(sterile technique): 영역or 물건에 모든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모든 미생물과 아포를 파괴하는 실무 포함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유형>
·세균: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미생물
·바이러스: 일차적으로 핵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재생산되기 위해서는 살아있는 세포
에 침투
·진균: 효모와 곰팡이
·기생충: 다른 살아있는 유기체에 존재
<감염의 유형>
·집락화: 미생물의 균주가 무리를 이루어가는 과정
·국소적 감염: 미생물이 신체의 특정한 부위에 국한된 것
·전신 감염: 미생물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전파되어 손상을 일으키는 것
·급성감염: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또는 짧은 시간 동안 지속
·만성감염: 오랜 기간 동안 서서히 일어나고, 몇 개월 또는 몇 년 동안 지속
<병원감염>
·의료기간에 머무는 동안에 발생될 수도 있고 퇴원 후에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음 (40% 비뇨기계 감염)
·병원감염이 가장 잘 일어나는 곳은 외과계 또는 내과계 중환자실
·CDC에서는 중심정맥관 관련 혈액감염, 도뇨관 관련 감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이 병원감염의 약 2/3라고 보고
·병원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대상자 자신으로부터(내인성) 또는 병원환경과 의료요원 (외인성)으로부터 전파됨⟶ 대부분 병원감염은 내인성으로 인해 나타남
·의원성 감염: 진단적 또는 치료적 절차에서 비롯됨(ex.정맥주사에서 일어나는 균혈증)
<감염회로>=감염사슬=감염주기
·원인체(미생물)⟶저장소(근원)⟶탈출구⟶전파방법⟶숙주 침입구⟶감수성이 있는 숙주
⟶원인체(미생물)
·원인체: 미생물
·저장소: 가장 흔한 저장소는 사람, 대상자에게 있는 미생물, 식물, 동물 또는 일반적 환경..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