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갑상샘 장애
구조: 갑상샘 후면 상하부 부착된 콩알만한 크기의 4개의 샘
PTH(pareathormone): 혈중 Ca 농도 조절
콩팥: Ca 배설 감소, P의 배설 증가= 칼슘, 인의 대사 조절
골 재흡수 증가(bone reabsortion)
혈청 내 Ca↑-PTH 분비↓
혈청 내 Ca↓-PTH 분비↑
부갑상샘 기능 항진증(hyperparathyroidism)
60세 이상 발생 but, 신장질환의 경우는 연령과 관련 없음,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높음
① 종류
원발성: 혈청 내 칼슘량, PTH분비 사이에 정상적인 조절관계 안 될 시 부갑생샘의 샘종(adenoma), 과다형성(hyperplasia)
2차성: 만성 저칼슘혈증에 대한 보상반응, 보통 신부전의 결과, 골형성부전증
3차성: 혈청 내 칼슘량 정상, PTH 억제X, 자동적 생성
② 병태생리와 증상
ⓐ 뼈손상
PTH과잉분비: 골재흡수 증진, 뼈→혈액 Ca 이동, 고칼슘혈증, 뼈 칼슘소실상태(demineralization), 병리적 골절(pathological fx), 척추후만증(kyphosis), 척추 압박골절, 지속 시 낭성 섬유골염(osteitis fibrosa cystica)
→ 뼈 통증, 관절통, 척추, 늑골, 장골의 병적 골절, 장기 지속 시 기형, 낭성 섬유골염 진전으로 뼈의 구부러짐, 신경과 근육 활동에 영향, 근육허약과 마비 유발
ⓑ 고칼슘혈증
- 손상으로 과량의 칼슘 배설, 혈청 내 과량 칼슘: calcium phosphate 형태로 폐, 근육, 심장, 눈의 연조직 침전
- 위액분비 증가, 복통, 소화성 궤양
→ 심맥관계 영향: 심부정맥, 서맥, 고혈압, digitalis 약물에 대한 민감성 증가
정신과적 증상: 우울증, 망상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