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의 이해
교육평가
교육평가
-교육평가란 교육과정 및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교육목표가 실제로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과정과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는 각종 활동
-교육목표 달성도를 검증하는 교육의 반성적·자각적인 일련의 과정
-교육평가와 교육과정의 관계: 과거에는 교육평가를 교육과정의 마지막 단계로 생각하였으나, 최근 평가의 개념은 교육의 전 과정에서 이루어짐.
⇨ 학생의 입장에서 각 수업과정에 따른 진단평가/형성평가/총괄평가가 이루어져야 함
기능
❶학생의 교육목표 달성도 파악 (학생이 교육활동에서 교육목표를 얼마나 달성하였는가라는 학생의 교육목표 달성도를 파악하게 해 줌)
❷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과정을 개선 (학생의 현재 학력 상태의 파악, 학습곤란의 진단, 개인차의 확인 등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과정을 개선함)
❸학생의 학습동기 유발 (평가는 일종의 사회적 압력을 통해 학생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게 함)
❹생활지도에 유용한 자료 제공 (학생의 인지적·정의적·신체적 측면 등에서 생활지도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함)
❺교육정치 (집단조직, 진급, 진학 등 학생의 능력에 맞는 교육상태에 학생을 배치하도록 함)
평가의 오류
*평정법에 의해서 학생의 수행을 평가할 때, 평정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유형: 논리적 오류, 후광 효과, 집중경향의 오류
❶집중경향의 오류
: 극단의 평가를 가능한 한 피하고 중간점수를 주는 데서 오는 오류로, 평가의 결과가 중간 부분에 모이는 경향 ☞ 평가자가 훈련이 부족할 때 주로 발생함
-아주 높은 점수나 낮은 점수는 피하고 평정이 중간 부분에 지나치게 자주 모이는 경향
❷인상의 오류(후광 효과)
: ‘선입견에 따른 오차’로서, 인상과 같은 선입견이 다른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쳐 좋게 또는 나쁘게 평가하는 오류
-평정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특정 인상을 토대로 또 다른 특성을 좋게 또는 나쁘게 평정하는 경향
❸논리적 오류
: ‘관련의 착각’으로, 논리적으로 전혀 관계가 없는 두 가지 행동특성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평가하는 오류
-전혀 다른 두 가지 행동 특성을 비슷한 것으로 생각해서 평정하는 경향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