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세균의 일반적 구조와 기능
2. 고세균의 구조와 기능
3. 영양획득전략
4. 영양요구성
5. 세균과 고세균의 분포 및 밀도
6. 세균에 의한 양분의 순환
7. 세균 집단의 양적 측정
8. 균류
9. 분류군에 따른 구조 및 기능
본문내용
세균과 고세균은 지구상에서 다양한 대사능력을 발휘하면서 유기물 분해, 토양정화, 무기양분의 생물적 변환, 도시폐기물 처리, 각종 동식물과의 다양한 공생관계 등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분류
세균과 고세균의 분류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실험실에서 관찰과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는 표현형 분류법과 진화적 유연 관계에 근거하여 구분짓는 계통학적 분류법이 있다.
표현형 분류법
실험실에서의 관찰 및 측정을 통해 밝혀진 표현형질으로 세균을 구분짓는 전통적인 분류법.
통상적인 실험실의 시약과 설비로 인지 가능한 특성으로 구분하여 다른 분류법과는 다르게 확실히 알 수 없는 생태학적 유연관계도 알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이 분류법은 원핵생물간의 진화적 유연관계를 명확히 밝히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 형태학적 특징: 크기, 모양, 세포군, 염색반응, 세포내 구조, 운동성, 집락의 형태
- 생리학적 특징: 탄소원, 에너지원, 무기 영양분, 산소요구성, 온도, pH, 삼투성, 물질대사 산물
- 생화학적 특징: 세포벽의 구성, 세포막, 다른 세포 성분
- 항원학적 특징: 동물의 항체와 반응하는 세균의 특정 화학성분
- 생태학적 특징: 생활사, 자연에서의 분포, 서식지, 타 생물과의 상호 연관성
<중 략>
세균의 일반적 구조와 기능
세균은 대개 0.2~2나노미터의 직경과 2~10나노미터의 길이를 가진 생물체로, 종류는 세포의 모양새에 따라 분류된다.
세포의 형태
막대균 – Bacillus 구균 – Coccus 나선균 – Spiillum 짧은 나선균 - Vibrio 방선균 - actinomycete
복수형은 끝 문자를 I로 바꾼다.
연쇄상 – Strepto 포도상 – Staphylo 4면체 – tetrad 균사 – hyphae(복수는 Thallus)
방선균은 무성포자를 형성하여 번식하는데, 이때 포자낭에 싸인 포자를 포자낭포자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포자를 분생포자라 칭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