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발달 간단 정리본
- 최초 등록일
- 2020.04.01
- 최종 저작일
- 2019.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언어 발달 간단 정리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형식
통사론 : 문장의 형식과 구조
형태론 : 단어의 내적 구성
음운론 : 말의 구조, 배치, 순서짓기, 음절
내용
의미론 : 언어의 의미 , 단어와 단어 조합의 의미 또는 내용 ,
사용
화용론 : 의사소통맥락 안에서 사용 맥락과 관련되어 있는 규칙
정보 전달을 위해 화용을 사용
언향적 의사소통
0-8개월
아동의 행동의 영향력은 있으나 의사소통 의도로 인한 것은 아님
언표내적 의사소통
8-12개월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을 보이는 시기
언어적 의사소통
14-16개월
말을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의사소통 목적 달성하게 되는 시기
첫 낱말기
12-18개월
약 50개-100개 낱말 표현
의미의 과잉확장 과소확장 많이 보임
ex 과잉확장 : 밖에 있는 모든 여성들에게 “엄마”라고 부름
ex 과소확장 : 양육자에게만 “엄마”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 : 요구하기, 이름대기, 거부하기, 부르기, 대답하기, 모방하기 등
낱말조합기
18-2세
18개월부터 어휘폭발기
대상, 행위, 행위자, 소유자, 소유물, 장소 등의 의미범주
조사 “~가/~는/~한테” 사용의 이해는 하나 표현x
과잉일반화를 주의해야함
기본문법탐색기
2-3세
낱말의 수 확장
fast mapping(새로운 말소리와 참조물을 연결시키는 능력)
상대적 개념의 관계어 습득
관형절“-거” 사용 빈번, 문법형태소 탐색
집단적 독백 시기
기본문법세련기
4-5세
빠른 속도로 의미의 수 증가
다양한 언어경험을 바탕
관계어 습득 본격적
지시적 표현 자유롭게 사용
낱말정의하기 (주관적으로 말함)
피동, 사동 표현 사용
4세 아동의 경우 이야기 논리적 순서가 맞지 않으나 5세 아동의 경우 표현하거나 자신의 의도 효율적으로 전달.
고급문법기
학령기
한자어+하다 사용증가 , 추상명사 및 다양한 부사 사용
낱말 정의하기 등 상위어 하위어 사용 객관적으로 기술
우리말의 구문구조나 문법능력의 세부적 특성 학습
부사절 사용 시제조건등 절 산출
담화적 결속 장치나 추론능력, 참조능력 세련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