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신생아 황달
- 최초 등록일
- 2020.03.01
- 최종 저작일
- 2015.05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A+맞은자료입니다.
간호진단 5가지 있고
우선순위에따른 간호과정2가지 있습니다.
모두 전공책에서 찾은 정확한 근거와
논문에서 찾은 측정도구들을 사용했습니다.
case study에 참고하시면 확실히 좋을 자료입니다.
자료 마지막에 참고문헌있습니다.
목차
1. 고위험 신생아 간호사례
2. 신생아 검진기록
3. 신생아 사정
4. 간호사례
5. 간호 문제 목록
6. 투약
7. 치료 및 검사
8. 간호과정
본문내용
1. 고위험 신생아 간호 사례 연구
1) 연구의 필요성
황달이란 간기능이 미숙하여 빌리루빈 색소를 몸 밖으로 내보지 못하고 조직에 축적되는 경우를 말한다. 빌리루빈은 수명을 다한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 파괴되면서 생성되는 주황색을 띠는 담즙색소로 지용성 비결합 빌리루빈은 혈액과 함께 순환하다가 간으로 가며 이것이 수용성의 결합 빌리루빈으로 전환되어 담즙 내로 분비된다. 황달은 많은 아동들에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더 자세히 공부하고자 case를 선정하게 되었다.
2) 질병에 대한 기술
(1) 신생아 황달
빌리루빈이라는 혈액성분이 축척되어 피부와 눈 흰자위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질환. 신생아에게 흔히 발병하며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사라지지만 일부에서는 뇌손상을 유발(핵황달)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 핵황달 정도로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지는 경우는 10만명중 1명 꼴이다.
-생리적 황달 : 생리적 황달은 출생 후의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만삭아에서는 대개 생후 2일부터 8일까지 나타나고 미숙아에서는 생후 14일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대부분은 별 다른 치료 없이 사라지게 된다.
-병적인 황달 : 생리적 황달보다 더 심한 황달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황달이 출생 당일부터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15 mg/dL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
(2) 빌리루빈의 대사과정
비장, 골수, 간 등에서 수명을 다한 적혈구가 파괴되는데 이때, 헤모글로빈에서 헴이 분리된다. 헴은 대사과정을 거쳐 불포합 빌리루빈으로 바뀌고 혈액을 따라 간으로 이동해 효소작용에 의해 불포합 빌리루빈이 포합빌리루빈이 된다. 담관으로 배출된 포합빌리루빈은 담즙 형태로 소장에서 대장을 거쳐 대변으로 배출된다.
(3) 황달의 발생 원인
-간 이전의 원인
간 이전의 원인에 의한 황달은 어떤 이유로 인해 적혈구의 파괴가 증가하면서 대사산물인 불포합 빌리루빈이 대량으로 발생되어 체내에 축적되기 때문에 난다.
참고 자료
김미예 외 10명 (2014) 「신생아간호학」. 서울 : 수문사
김미예 외 10명 (2014) 「아동간호학」. 서울 : 수문사
김영혜 외 2명 (2014) 「아동간호학」. 서울 : 현문사
박민향(2013) 「신생아중환자 간호 임상가이드」. 서울 : 가나북스
차영남 외 4명(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