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9주차 1교시
II. 9교시 2주차
III. 10주차 1교시
IV. 10주차 2교시
V. 11주차 1교시
VI. 11주차 2교시
VII. 12/1주차
VIII. 12주차 2교시
IX. 13주차 1교시
X. 13주차 2교시
XI. 14주차 1교시
XII. 14주차 2교시
XIII. 15주차 1교시
XIV. 15/2교시
본문내용
1. 다음 중 중간유통상의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④
①시장정보의 수집 ②상품판매의 촉진 ③가격,조건의 협상 ④양질의 상품생산
2. 다음 중 도매상의 한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④
①브로커 ②제조업자 도매상 ③상인 도매상 ④카탈로그 판매
3. 다음 중 유통 경로에 관한 설명이 바른 것은? ①
①B2B상품일수록 직접 유통경로를 선호한다
②소매상은 도매상에게 물품을 공급한다
③유통 구성원간의 갈등은 생산자에게 이익을 준다
④생산자 -소비자간 직거래가 보다 거래 효율성이 높다.
1.직거래의 한계
농산물 유통비용이 농산물 소비자 가격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음
->보통 농산물 소비자가격의 절반 이상은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불어난가격
소비자-생산자간의 전면적인 직거래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몽상
“불필요한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는 불필요한 유통단계는 축소되는 것이 마땅하지만 유통이 소비자와 생산자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음”
2.유통의 가치
생산자:상품과ㅏ 서비스를 시장에 공급하기 위하여 유통경로에 존재하는 도매업자나 소매업자와 같은 중간상을 이용
단축된 거래는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거래의 복잡성을 해결해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이익도 증진
①시장정보의 수집:기업이 고객지향적인 마케팅을 하기 위해서 고객이나 시장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필수적
②상품판매의 촉진:기업들은 자사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광고나 마케팅 등 다양한 판촉활동을 추진
③고객맞춤화: 고객의 만족감을 극대화 하기 위해 상품이나 서비스가 고객 개개인의 니즈를 적합하도록 조정
④협상의 수행: 표준화된 공산품이라고 하더라도 판매자와 소비자간에는 일종의 협상이 불가피한 경우 발생
⑤물류의 담당 :고객이 원하는 물건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원하는 물량만큼 미리 준비(물류기능)
3.경로의 구성
소매상: 상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판매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중간상.최종적으로 기업의 매출을 결정
점포형소매상: 5일장.백화점.슈퍼마켓,편의점 등등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