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9-10주차. 러시아 음악
2. 11주차. 러시아 영화
3. 12주차. 러시아의 발레
4. 13주차. 러시아 미술과 건축
5. 14주차. 러시아 정교
본문내용
1. 초기의 러시아 음악
- 988년 그리스도교 도입으로 그리스도교의 비잔틴 문화가 러시아에 침투
● 성가 음악 : 비잔틴의 양식을 따랐는데 점점 러시아 정교회의 예배 음악으로 발전 → 러시아가 합창음악이 발달초기(기독교이전)에는 농사관련 노래
● '즈나멘니 성가', '콘다카르니카 성가'
● 타타르 지배 시기, 러시아식 민중 음악이 발달 (타타르지배 → 교외음악이 상대적 쇠퇴 → 민중음악 발달
● 16세기 이반 뇌제 → 즈나멘니 성가 다시 전성기, 시간이 지나면서 화려한 양식이 붙음
● 17세기 니콘 주교의 종교 개혁 , 즈나멘니 성가는 교회로부터 사라짐
● 19세기 중엽 서구의 것을 모방 (주위 환경으로 인해 자기 것 발전 못함)
● 알렉산드르 황제 시대(1645-1676), 서유럽의 음악과 새로운악기들
● 1672년에는 궁중극장이 만들어짐 → 연극공연 → 지금의 오페라, 연극의 모태
2. 18세기 러시아 음악
● 표트르 대제의 서구화 정책 → 음악에도 큰영향, 이 시기에 국가의 지원에 의해 음악이 발전되기 시작
● 독일의 음악가들과 연극배우, 하지만 음악 장려 정책을 취하지 않음.
● 궁중 음악은 안나 여제 시대(1730-1740)때부터, 최초의 인쇄 악보도 이 시기에 출판
● 이탈리아 작곡가 아라자는 1732년 궁중 오페라단을 창설
● 예카테리나 2세 시대 갈루피, 파이지엘로, 사르티 등을 초빙
●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들이 러시아 음악을 이끄는 동안에 러시아 농노 출신의 작곡가 마틴스키, 포민, 파쉬케비치는 오페라의 토대 마련, 페테르부르그의 궁중에서 활동
● 포민(이탈리아에서 유학), 최초 러시아 오페라 <아니우타>, <노브고로드의 영웅 부스라예비치>, <마술사 물방앗간 주인> ← 러시아 민요들이 삽입됨
● 마틴스키, 포민 <르네상스>
● 우크라이나출신. 베레조프스키 <데모폰티>
3. 19세기 전기의 러시아 음악
● 18세기 초(알렉산드로1세가 왕에 오르는 시기), 고전주의에서 못벗어남, 작곡가의 개성과 민족적 특징이 잘 살아남이탈리아 오페라 쇠퇴하고 프랑스 오페라가 차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