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사능력시험 중, 고급 자료입니다.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부터 최근까지를 정리하였습니다. 각종 시험관련 자료 및 논문 등 수많은 서적들을 참고하여 본 파일을 작성하였습니다. 임의로 내용을 변경, 수정하지 못하도록 PDF 파일을 탑재하였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노력
1. 서양 세력의 접근과 흥선 대원군의 정치
2. 문호 개방과 개화 정책의 추진
3. 동학 농민 운동과 갑오개혁
4. 대한 제국과 독립 협회
5. 국권 피탈과 국권 수호 운동
6. 신문물의 수용과 사회 변화
Ⅴ. 일제 강점기와 민족 운동의 전개
1. 무단 통치와 민족 운동의 시작
2. 민족 분열 정책과 민족 운동의 분화
3. 민족 말살 정책과 민족 운동의 발전
4. 민족 문화 수호 운동과 사회의 변화
5. 민족 운동 세력의 결집과 건국 준비
Ⅵ. 대한민국의 발전과 현대 세계의 변화
1. 냉전의 전개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2. 6․25 전쟁과 전후 복구 노력
3. 냉전 체제의 변화와 대한민국의 발전
4. 민주화의 진전과 확대
5. 사회와 문화의 재편
6. 냉전 체제의 해체와 대한민국의 미래
<부록> 한국사 연표(상세분) 및 다섯 나라의 군대를 거친 박정희
참고자료 & 저자 소개
본문내용
Ⅳ. 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노력
1. 서양 세력의 접근과 흥선 대원군의 정치
(1) 흥선 대원군(1820~1898)의 개혁 정치 ⇒ ★ 시험에 출제가 잘 되므로 반드시 알아둘 것!
① 통치 체제의 정비
1> 1863년 철종의 뒤를 이어 고종이 12살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군은 대원군이 되어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1864~1873) ⇒ 흥선 대원군은 사도세자의 증손자이자, 철종과는 6촌간임!
* 대원군 : 임금의 대를 이을 적자손이 없을 때 가장 가까운 왕족 가문 중에서 임금을 세우는데,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봉하던 작위를 가리킨다. 다른 말로는 국태공(國太公)이라고 한다. 4명의 대원군 가운데 3명은 죽은 뒤에 추존되었으나, 흥선대원군만 살아 있을 때 봉해져‘살아 있는 대원군’ 이라고 불렸다.
참고 자료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40년대 ~ 2000년대 全卷≫, 서울: 인물과사상사, 2002.
강준만. ≪한국 근대사 산책 1~10≫, 서울: 인물과사상사, 2007.
교육부. ≪고등학교 국사 교사용 지도서≫, 서울: 두산, 2002.
김진국 外. ≪www.한국현대사.com≫, 서울: 민연, 2000.
노회찬. ≪어, 그래? 조선왕조실록≫, 서울: 일빛, 1997.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파주: 들녘, 2000.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파주: 들녘, 1996.
서중석. ≪한국 현대사 60년≫, 서울: 역사비평사, 2007.
신병주. ≪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서울: 랜덤하우스중앙, 2003.
이기백. ≪한국사신론≫, 서울: 일조각, 1999.
이나미. ≪한국 사회와 그 적들≫, 파주: 추수밭, 2013.
이덕일. ≪근대를 말하다≫, 고양: 역사의 아침, 2012.
이동현. ≪이슈로 본 한국현대사≫, 서울: 민연, 2002.
이성주. ≪엽기 조선왕조실록≫, 파주: 추수밭, 2006.
이수광. ≪우리도 몰랐던 한국사 비밀 32가지≫, 서울: 북오션, 2014.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1~22≫, 파주: 한길사, 2000.
이희근. ≪문화유산에 담긴 우리 역사 이야기≫, 서울: 여명미디어, 2001.
임병주.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 파주: 들녘, 1998.
임영태. ≪대한민국 50년사 1~2≫, 파주: 들녘, 1998.
주진오 外. ≪고등학교 한국사≫, 파주: 천재교육, 2014.
최용범.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서울: 페이퍼로드, 2001.
최용범 外.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근현대편≫, 서울: 페이퍼로드, 2012.
표학렬. ≪에피소드 한국사 고중세편≫, 서울: 앨피, 2014.
한홍구. ≪대한민국史 1~4≫, 서울: 한겨레출판사, 2006.
함규진. ≪한국인의 운명을 바꾼 역사적 선택 108가지 결정≫, 서울: 페이퍼로드, 2008.
KBS 한국사전 제작팀. ≪한국사 傳 1~5≫, 서울: 한겨레출판사, 2008.
다음백과, 위키백과, 한국민족대백과사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