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의 개념>
1. ‘노출’은 개인이 ‘자극’에 ‘물리적’으로 ‘접근’하여 개인의 5가지 ‘감각기관’이 ‘활성화’된 준비상태를 말하며, 이는 ‘정보처리과정’의 첫 단계다.
2.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에 노출되는 ‘우연적 노출’이 대부분이며, 소비지가 문제해결을 위해 자신을 ‘의도적으로 마케팅정보에 노출’시키는 ‘의도적 노출’은 드물게 일어난다.(이때 ‘의도적 노출’이 곧 ‘외적탐색’이다.)
3. 왜냐하면, ‘의도적 노출’은 소비자가 의사결정과정에 높게 관여될수록 적극적이 되지만, 소비자는 여러 제품에 대한 직·간접경험에 의하여 장기기억에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고,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제품구매에서 높게 관여되지 않기 때문이다.
4. 즉, 소비자는 대부분의 제품구매를 ‘내적탐색’만으로 해결하기 때문에 ‘의도적 노출’은 ‘우연적 노출’보다 드물다는 말이다.
5. 따라서 마케터는 소비자가 언젠가 보았던 자사광고가 ‘장기기억’에 저장되었다가, ‘정보탐색’이나 ‘구매시점’에 영향을 미치도록 ‘우연적 노출의 가능성’을 최대한 높일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문제해결을 위한 목적으로 ‘의도적 노출할 때’, ‘적절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6. 그런데 소비자는 필요하고 관심을 갖는 정보에만 자신을 노출시키는 지각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어서, 마케터의 우연적 노출 노력을 허무하게 만들기도 한다.
7. 가장 흔한 예로 ‘TV광고’가 나오면 리모컨을 이용하여 곧바로 ‘다른 채널’로 돌리는 ‘Zapping’, 그리고 ‘동영상’에서 ‘재미없는 부분’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버리는 ‘Zipping’이 있다.(물론 ‘e-mail’ 중에서 ‘광고메일’은 제목도 보지 않고 ‘삭제’해버리는 것도 해당한다.)
<감지>
8. ‘감지’는 ‘자극의 정도’가 어느정도 ‘강해져’ 감각기억이 ‘그 자극을 알아차리는 과정’을 말하며, 감지와 관련된 개념으로 ‘절대적 식역’, ‘식역하 지각’, ‘차이식역’이 대표적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