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시베리아는 무엇인가?
<러시아의 이해>
- 러시아는 이국적이고 낯선 나라
- 고전음악과 발레, 또는 톨스토이나 도스토예프스키, 체호프와 같은 문학과 예술 분야이거나 또는 스탈린과 철의 장막, KGB처럼 어두운 정치사 등, 단편적이고 대조적인 경우
- 인적이 없는 광활한 시베리아 설원과 극한의 기후 조건
- 동화 속 그림처럼 알록달록한 첨탑의 러시아 교회들, 뚜껑을 열면 다른 인형이 튀어나오는 마트료쉬카 인형과 같은 러시아의 단상들도 우리에게는 막연한 동정심이나 왠지 모를 불안감의 대상
- 두 개의 대륙에 걸친 광대한 국토와 70개 이상의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러시아를 제대로 아는 것은 마치 장님이 코끼리를 더듬는 것처럼 어려운 일
- 러시아는 구한말 우리나라가 미국에 이어 두 번째 (1884년)로 국교를 맺은 나라였을 만큼 우리 근대사에 일찍이 등장한 외국
- 1896년 고종과 왕세자가 궁궐을 벗어나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겨간 아관파천 사건에서 볼 수 있듯이 개국 당시 러시아는 우리나라 정치에도 상당히 연관성
- 한국과 러시아의 문화적 차이도 서로를 쉽게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이다.
- 러시아의 주류 문화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유럽 문화권에 집중되어 잇어 중국 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와는 상당히 이질적이다.
- 영어와 비슷한 듯하면서도 생소한 키릴 문자와 언어, 종교 등 러시아 문화는 그간 우리에게 익숙해 진 전통 유럽 문화와도 완전히 달라서 우리나라와 러시아 간에 자연스럽게 정서적 친밀감이 조성되기도 어려운 설정이다.
- 우리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최인접국이라는 점 하나만을 고려하더라도 우리나라와 러시아 간의 선린 관계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
- 오랜 선입견과 오해들을 털어 버리려면 상대방의 모습을 다양한 측면에서 두루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러시아를 동서로 관통하는 시베리아 횡단철도 여행이야말로 러시아 전체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 우리나라의 미래와 국익 차원에서도 러시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