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이 족은 중국 남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인도차이나 반도로 이동하였으며 13세기에 쑤코타이สโขทย왕조(1238~1438), 14세기에 아윳타야อยธยา 왕조1350~1767를 세웠다. 이후 1767년 버마군의 침략으로 아윳타야는 멸망하고 15년간의 단명에 그쳤던 톤부리ธนบร왕조(1767~1782)를 거쳐 1782년에 랏따나 꼬씬รตนโกสนทร왕조(1782~현재)가 세워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1. 태국개황
국명
❖ 태국의 명칭은 므엉 타이เมองไทย, 싸얌สยาม, 暹羅쁘라텟 타이ประเทศไทย등 의 순서로 불리다가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다시 싸얌, 그리고 1949 년 5월 11일부터 오늘날까지 쁘라텟 타이 또는 타일랜드Thailand라고 불리게 되었다. 영어 공식 국호는 Kingdom of Thailand이다. 타이ไทย 라는 말은 자유를 의미한다.
국기
❖ 통 뜨라이롱(삼색기)이라고도 불리는 국기는 라마 6세 때인 1917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그 이전에 사용된 국기는 붉은 바탕 위에 흰 코끼리가 있는 형상이었다.
❖ 국가(민족, 민족의 피)를 의미하는 제일 바깥의 적색 띠는 종교를 의미하는 똑같은 크기의 백색 띠를 둘러싸고 있다.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심부의 청색 띠는 국왕을 상징한다.
왕국의 문장
❖ 태국의 국가 또는 왕실의 상징은 크룻이다. 크룻은 반은 새이고 반은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힌두신인 비슈누신의 탈 것을 의미한다.
국화
❖ 태국의 국화는 랏차프륵이다. 이 꽃은 2월에서 5월까지 피는 노란색의 꽃이다.
국가와 국왕찬가
❖ 태국은 국가와 국왕 찬가가 있다. 현재의 국왕인 라마 9세를 찬미하는 국왕 찬가는 공식행사와 공공의 모임, 스포츠 행사, 영화관, 콘서트 등에서 연주된다.
정체(政體)
❖ 태국은 1932년 입헌군주제를 채택, 국가원수는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1927년생인 푸미폰 국왕은 1946년 6월 랏따나꼬씬 왕조의 9대 왕인 라마 9세로 즉위한 이래 현재 태국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하는 국왕이 되었으며, 1986년에는 입헌군주로서는 최초로 대왕으로 추대 되기도 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