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중국 불교의 연구와 그 반성
제2장. 한역 대장경의 출현
제3장. 불교와 유교의 충돌
제4장. 불교와 도교의 충돌
제5장. 불교 우위론의 이론적 확립
제6장. 규봉 종밀의 자아관
제10장. 종밀의 교학과 법성교학의 만남
제15장. 법성교학에서 본 정토사상
제16장. 법성교학에서 본 계율사상
제17장. 법성교학에서 본 젠더
본문내용
제1장. 중국 불교의 연구와 그 반성
II. 동아시아론
# 동아시아론은 이데올로기적 ‘의도’가 있었기에 무의미 하다.
III. 지적 제국주의
# <지적 제국주의> : 어느 한 지역의 지식이 여타의 지역에 일방적으로 침투되어 그 지역에서
압도적인 힘을 휘두르는 현상
# 중국은 유,불,도 3교를 통해 지적 제국주의를 실시했다.
# <이하론> : 중화와 오랑캐라는 차별적 시각으로 문화를 설명하는 중화적 세계관
# ‘그대는 이제 그것을 버리고 다시 오랑캐의 술수(=불교)를 배운다면 이는 잘못된 게 아닌가’
–모자이혹론
# 중국은 상호 교류의 대상이 아닌 배움의 대상이었으며 그것도 수용하고 따르기 위한 일방적인 배움이었다.
IV. 동북아시아의 불교 연구와 반성
# 불교연구의 기준 변천
제1기 :‘성인의 가르침’으로 수용 – 가르침의 내부에 관심을 두던 시기
# 연구 방법상 특징 : 교종의 ‘교판론’, 선종의 ‘조통설’
# 연구자의 신념, 신앙과 연구하려고 한 대상과의 구별에 관심 X
제2기 :‘부처의 가르침’을 대상화 하고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의식
# 서구의 철학 용어 내지는 방법을 빌려 그 이전의 ‘불교’를 재해석
제3기 :지나학(Sinologie)이라는 입장에서 중국 불교를 연구
# 근대 유럽의 선교사들에 의해 진행
# 문화학으로 중립적인 입장 / 기독교의 전파를 위한 수단
# 이데올로기가 개입된 불교연구
V.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 시대 사조라는 사상사적 흐름을 염두하고 전체상을 고려하면서 개별 연구를 진행해야 함
# 종(宗)의 개념으로 폐쇄적 요소를 한정하지 말아야 함
# 불교 자체를 ‘방법(方法)’으로 이해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제2장. 한역 대장경의 출현
I.중국적 불교의 시작
# 중국 고유의 방법을 매개로 중국적 불교 창출
<경학>, <목록학>으로 재해석 / 연구하고 강의하는 과정에서 <교판이론>탄생
# 교판론에 입각하여 각 불전을 연구
# 번역 : 역경 / 해석 : 의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