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신생아
신생아기 (생후 첫4주까지)
신생아의 전환기
생후6-10시간, 자궁 외에서 생명을 스스로 유지하는
전화과정을 준비하는 생리적 변화, 중요 생리적 변화는 태반순화→폐순환
1. 호흡의 특성
1)호흡기능을강화하는 자궁 내 요인
재태연령20-24주경 폐포관이 나타남, 24-28주경 원시적인
폐포가 나타남, 폐포 상피세포는 가스교환에 필요한 구조인 제1형세포와 계면활성제를 생성, 저장하는 제2형 세포로 분화한다. 계면활성제는 레시틴L, 스핑고미엘린S이라는 인지질로 구성(L/S 2:1), 라멜라체는 제2형 폐포세포에서 분비되는 계면활성제의 저장소로 양수 검사상 높으면 폐포성숙을 의미, 라멜라체 50.000mm3이상은 폐포성숙 20.000mm3미만은 호흡곤란증후군!
2)호흡의 시작
1호흡의 시작을 위한 자극
첫 호흡은 폐포의 확장으로 시작, 첫 호흡을 유발하는 인자는 출산과 관련된 기계적 자극, 화학적 자극, 온도변화, 촉각자극등
2첫 호흡을 통한 폐포의 공기유입
액체로 차있던 폐포가 공기로 채워지면서, 독자적인 자궁외 생활로 적응함, 폐로 공기가 유입되며 폐의 액체가 폐 간질로 이동되어, 림프관과 폐순환을 통해 흡수된다.
이 과정에서 미세한 수포음을 들을 수 있다.
3공기흡입과 폐확장
첫 호흡으로 만들어진 흉곽 내 음압은20-70cmH2O까지,
이후 호흡에는 15-20cmH2O 압력만 필요
4흡입노력
계변활성제는 출생 시 카테콜아민이 상승하며 분비가 촉진됨, 이는 표면장력을 낮추며 폐포를 안정화, 무기폐, 폐허탈을 막아줌.
5폐순응도
카테콜아민이 분비되며 출생 몇 시간 후 폐의 순응도가 호전된다. 카테콜아민 특히 에피네프린의 증가로 폐 내 분비물이 감소, 림프관으로 흡수가 증가하며 폐가 깨끗해짐.
3) 신생아 호흡의 특성
신생의 홉흡은 횡격막, 복벽근육을 사용, 호흡을 저해하는 요인은 폐포의 표면장력, 호흡기 내 체액의 점성, 폐의 순응도 감소! 신생아는 심장과 종격동이 커서 폐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늑간근이 약하고, 늑골이 수평적, 횡격막이 높아 폐확장에 필요한 공간이 제한 받는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