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량분석: 분석문제 파악-분석방법 선택 - 벌크시료 취하기-실험시료 만들기- 반복시료 만들기-용액시료 만들기-방해물질 제거-기기 검정-분석물 신호 측정-결과 계산-신뢰도 평가
2. 음용수의 중금속 오염 측정을 위한 분석장치 3가지: 불꽃 원자흡수분광계, ICP 원자 방출분광계, ICP-MS 원자질량 분석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이온선택성 전극을 이용한 전위차계, 발색시약을 이용한 UV-Vis 흡수분광광도계 등
3. 가리움제 (masking agent) 넣어주는 이유?
분석물질 중 어떤 성분이 EDTA와 반응하지 못하게 막는 시약
(예) Mg2+, Al3+혼합물에서 Mg2+적정 시 Al3+을 F-로 가리우고 Mg2+만 EDTA로 적정
<기기분석>
1. 매트릭스 효과: 매트릭스는 미지시료 중에 함유되어 있는 분석물을 제외한 모든 화학종이며 이 매트릭스에 의해 분석신호가 변화되는 효과
2. ①복잡한 매트릭스의 조성이 알려지지 않았을 때 사용되고 ②알고 있는 농도(양)를 미지시료에 첨가하여 증가된 것을 보고 미지시료 원래 농도(양)를 찾을 때 사용되는 정량분석법은? 표준물 첨가법
3. 검출한계: 주어진 신뢰수준에서 신호로 검출될 수 있는 분석물의 최소농도, 바탕신호의 표준편차 3배 신호에 해당하는 농도
4. 광학적 분석법: 흡광, 형광, 인광, 산란, 방출, 화학발광
5. 유기 화합물 미지가루 시료를 적외선 흠수분광법으로 분석할 때 고체상태 알갱이 시료를 균일한 상태로 분산, 시료가 압력이나 grinding에 의해 변성되지 않을 때 시료 분산방법 2가지
① KBr과 같은 고체매트릭스를 미지가루 시료에 혼합하여 잘 갈아 균일하게 만든 후 펠렛으로 만들어 사용
② 탄화수소 오일인 뉴졸과 같은 액체 매트릭스에 미지가루 시료에 혼합하여 잘 갈아서 멀을 만들어 사용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