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지역사회 간호개요
01절 지역사회간호의 이해.
02절 지역사회 간호 관련 이론
03. 절 지역사회 간호의 역사적 조망
04절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05절 지역사회 간호의 수단 및 방법
제 2장 보건의료 체계
01절 보건의료 정책
02.절 보건의료 제도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의개념
1) 지역사회보건의 개념과 특성
• 공중보건(Public health) :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제공함으로써 인구집단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활용하는 것.
- 공중 보건학: 지역사회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불 건강의 원인이 되는 사회적제 요인을 제거하는데 중점을 둠
• 공중 보건의 핵심기능
① 인구집단에 대한 사정(Assessment) : 특서, 건강수준, 요인등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② 정책개발(Policy Development) : 정확하고 신뢰한 만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 인력과 예산등의 자원을 배치
③ 질보장(Quality Assurance) : 지속적인 감시와 감독
• 공중 보건 정의(Winslow)
- 공중보건이란지역사회의 조직적인 노력을 통해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건강과 안녕을 증진하는 과학이요, 기술이다.
• 공중보건학 : 지역사회의 조직적인 노력을 통해 콜레라,장티푸스와 같은급성 전염병을 예방하고, 평균 수명을 연장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수행하는것
• 공중보건/지역사회보건의 특성
① 공공성(Public Utility)
세금을 제원으로함.
② 공공재화(Public Goods)
하나의 지역사회 단위의 노력으로 지역사회 건강수준을 향상 시킬수 있음 ex) 안전식수유지, 청적식품생산
③ 접근성(Accessibility)
보건의료 서비스의 제공은 재정적, 지리적, 사회 문화적인 문제로 인해 장애를 받으면 안됨,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야함(형평성 유지)
④ 포괄성(Comprehensiveness)
예방, 치료 재활 및 건강 증진이 상호 조정되고 연속적운영
⑤ 지속성(Continuity)
시간적, 지리적 관계를 갖고 적절히 연계되어야 함.
⑥ 효율성(Efficiency)
최소자금으로 최대의 목적을 달성
2) 지역 사회 간호의 개념과 특성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