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부터, 중세시대(고려), 근세시대(조선) 그리고 조선의 마지막 왕 27대 순종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역사를 시대별 및 왕의 순서대로 정치·경제· 사회 측면에서의 업적과 재위 당시주요사건 을 정리해놓은것입니다. 지엽적인 것은 배제하고 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나 수능 시험에 등장하는 왕을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한국사 관련 시험을 대비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왕별로 시대의 흐름과 사건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 내용을 숙지하면 수능한국사 및 한국사능력검정시험대비 마무리용으로 보시면 효과적입니다
이 자료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부터, 중세시대(고려), 근세시대(조선) 그리고 조선의 마지막 왕 27대 순종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역사를 시대별 및 왕의 순서대로 정치·경제· 사회 측면에서의 업적과 재위 당시주요사건 을 정리해놓은것입니다. 지엽적인 것은 배제하고 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나 수능 시험에 등장하는 왕을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한국사 관련 시험을 대비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왕별로 시대의 흐름과 사건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 내용을 숙지하면 수능한국사 및 한국사능력검정시험대비 마무리용으로 보시면 효과적입니다
목차
I. 고대국가의 왕
1 고구려의 왕
2 백제의 왕
3 신라의 왕
4 발해의 왕
II. 중세시대의 왕 (고려)
II. 근세시대의 왕 (조선전기) ~ 근대태동기의 왕 (조선후기)
본문내용
태조왕 옥저정복, 5부체제로 발전
(1세기) 계루부, 고씨가 독점적으로 왕위를 상속, 고대국가의 기틀 확립
고국천왕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전환, 부족적 성격의 5부를 행정적 성격의 5부로 전환->중앙집중앙 집권화 강화
(2세기후반) 國相 을파소의 건로 춘대추납제도인 진대법 실시
동천왕 고조선 멸망후 평양에 세워졌던 식민지인 낙랑군을 축출하기 위해
(3세기) 서안평(西安平)을 공격하였으나 오히려 역전당하여 구구려 수도인 국내성을 점령당함
미천왕 중국이 불안정한 틈을 타 서안평을 점령,
(4세기) 낙랑군과 대방군을 점령, 한4군 세력을 완전히 축출
고국원왕 중국 전연과 요동지방 쟁탈전에서 패배
(4세기) 남진 추진하다가 북진을 추진하는 백제 근초고왕의 침입을 받아, 평양성 전투에서 전사
소수림왕 고국원왕의 아들로서 국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불교를 수용
(4세기) 유학 교육기관인 태학을 설립하여 왕에 충성하는 관리를 육성
율령을 반포하는 등 소수림왕의 개혁이 대왕이 정복 활동을 펼치는데 밑바탕이됨
광개토대왕 소수림왕때의 내정 개혁에 힘입어 정복활동 을 단행
(4세기) 북쪽으로는 요동지역 을 다시 점령, 남쪽으로는 한강 이북을 차지
永樂 최초의 연호를 사용하여 왕권을 강화
400년에 백제와 왜 가야가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하였는데 신라를 고구려 에 도움을 요청하였고 광개토 대왕은 신라를 멸망의 위기에서 구함
(경주 호우총 호우명 그릇. 광개토대왕릉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