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이해 유연희 교수님 중간고사 예상답안 정리
*예*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2012년도 가을학기 유연희 교수님의 구약이해 중간고사 예상답안지입니다.목차
1. 오경의 문서가설과 새 연구 동향에 대해 기술하시오. (“토라의 신학”에서 이영 재의 글 참조)2. 오경이 보여주는 고대 이스라엘 여성의 역할과 사회적 위치에 대해 기술하시오. (토라의 신학”에서 유연희의 글 참조)
3. 오경의 주요 주제는 무엇이고 그에 대한 나의 성찰은 무엇인가?
4. 고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에 대한 다섯 가지 가설은 무엇이고 나의 평가는 무엇인가?
5. 사무엘상 25장 이야기에 대한 여러 해석을 읽고 느낀 점은 무엇인가?
(유연희, “아비가일의 남자들” 참조)
본문내용
4. 고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에 대한 다섯 가지 가설은 무엇이고 나의 평가는 무엇인가?1. 정복설: 성경에서 주장하는 가장 보수적인 가설로 여호수아의 여리고성 정복이 대표적이다. 고고학적으로 아이성과 여리고성 발굴시 당시 사람이 살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짐으로 인해 증거의 불충분으로 거의 믿지 않는 가설이며, 여호수아서에서도 군데군데 부정하는 내용이 있다.
2. 혁명설: 가나안 내부에서 지도층에 불만을 품고 있던 사람들과 이집트에서부터 온 히브리사람으로 추정되는 외부인들이 혁명을 일으키고 정착하게 되었다는 가설. 지방총독들이 아켄아텐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아마르나 편지에 하피루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히브리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성서적인 근거가 없고, 하피루는 히브리와 발음의 차이가 크며 부랑자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히브리인으로 보기에 무리가 있다.
3. 이주설: 유목민들이 산간지대부터 평지로 확장시켜 정착했을 것이라는 가설. 사사기에서 드러나고 있다. 고대 시리아와 팔레스틴 지역은 기후의 리듬이 있었고, 유목민들은 매년 반복되는 날씨와 현상 속에서 목장을 교환하며 이동하는 것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농경지에서 영구히 정착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정착을 위한 노력들이 계속 되면서 유목민들은 초원에서 농경지로 수백년의 시간에 걸쳐서 정착하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 가설의 특징은 유목민들이 장기간에 걸쳐서 이동하였고, 결혼이나 좋은 유대관계에 의한 평화적인 이주, 자연의 순환과 맞물려 있고, 원주민의 세력에 성패 가 좌우된다는 것이다.
4. 점진적 출현설: 고고학적으로 이스라엘적인 유물로 테있는 항아리와 네방집을 염두에 두고 있다. 후에 발굴작업을 통하여 다른 곳에서도 이 유물들이 발견되었고, 유적지에서 살던 사람들은 처음부터 가나안 내부의 사람들이었고, 어느 순간부터 다른 사람들과는 다르게 이스라엘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고 보는 가설이다.
5. 협력설: 공생의 의미가 더 큰 가설. 떠돌아 다니면서 목축을 하던 사람들이 고지대에 정착하게 되고, 후에 저지대에서 농업을 하던 사람들과 경제적인 협력관계를 이루어 함께 정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급격한 인구증가의 요인은 다음과 같다. ①이집트 사람들이 강제로 이스라엘 사람들을 고지대에 이주시켰다. ②이집트 사람들이 징세를 심하게 해서 고지대로 도망쳤을 것이다. 모르는 일이지만 분명한 것은 이 지역에 이집트를 비롯한 강대국들이 가급적 손을 뻗치면서 세력을 늘 강화시키려고 했다는 것이다.
마빈 체이니는 유목민 침투 모델과 정복 모델을 모두 거부한다. 초기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에서 가장 효과적인 이데올로기가 신앙이 아닌 경제라는 사실이 다소 충격적이었다.
다른 세 모델에 비해 문화진화론적 모델에 무게를 두고 있었는데 놀의 책을 읽고 더욱 확고히 나의 입장을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놀은 “성서의 이야기는 사실이나 역사는 아니다”라고 이야기한다. 나도 성서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역사적인 관점으로 접근할 때, 성서적 전승을 근거로 한 정복모델에서는 비상식적인 부분이 발견된다. 오랫동안 유목생활을 한 이스라엘 민족이 굳건한 성벽을 세우고 비옥한 토지에서 풍요롭고 안정적으로 살던 가나안을 정복할 정도로 막강한 군사력을 가질 수 있었을지에 대한 의문이 그러하다. 뿐만 아니라 정복자로서 여호수아의 성격이 뚜렷하게 부각되지 않는다는 점, 정복과정에 대한 불명확성등 여러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문화진화론적 모델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 사건이 일반적인 국가 형성 과정에 부합한다고 본다. 이 모델은 이스라엘 초기 공동체의 형성을 후기 청동기 시대의 도시문명의 파괴에서 시작되어 방대한 지역의 많은 사람들이 축출되고, 이 축출된 그룹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계속적인 정착, 그리고 이들 공동체의 역사적 발전이라는 긴 과정의 산물로 본다. 따라서 이스라엘 공동체만의 특징, 그 종교적인 공동체성은 후대에 가서야 생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사회과학]그리스로마신화와 한국의전설 비교하기 12페이지
- 기독교 윤리 - 성 역할, 양성평등에 대한 고찰 13페이지
- [기독교와 종교]여성과기독교 4페이지
- [성경과 여성] 기독교 여성, 성서와 페미니즘, 페미니즘을 바라보는 성경 22페이지
- 기독교와 여성 / 페미니즘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