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敎(교)와 學(학)의 차이점. (즉, 종교와 학문의 차이점)
- 性理學(성리학)
- 성리학의 쇠퇴
- 성리학의 변화
- 성리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본문내용
- 敎(교)와 學(학)의 차이점. (즉, 종교와 학문의 차이점)
1) 종교: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믿음의 대상. 신과 인간은 주종의 관계. 즉 모든 만물을 하느님이 분석하고 결정.
A. 神(신)의 특징
i. 全知全能(전지전능)
ii. 무 오류
iii. 遍在(편재)성: 두루 존재한다.
2) 학문
A. 믿음의 대상이 아닌 분석의 대상.
B. 분석의 주체는 사람이며 분석되는 대상은 만물.
C. 공자는 “怪力亂神(괴력난신)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말했음.
3) 성리학에는 신이 없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세상의 중심은) 바로 사람이다. 따라서 인간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 性理學(성리학)
1) 성리학에서는 인간의 내면적인 모습을 중시했다. (인심)
2) 겉으로 드러나는 것들은 예절로서 다스렸다.
3) 성리학에서는 인간의 마음이 둘로 이루어졌다고 본다.
A. 性(성)
i. 가장 순수하고 무궁한 것, 기본이 되는 것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ii. 주자는 성은 곧 理(리)라고 말했다. (그 결과 성리학이라고 불림.)
iii. 보편적인 인간은 4段(단)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