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Rotator cuff tear 회전근개 파열 case study 및 간호진단 3개
목차
1. 질병 기술
2. NANDA
3. 진단 검사
4. 간호 과정
1) 우측 회전근개 파열 및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부적절한 질병 관리와 관련된 이동능력장애
3) 사지의 제한적 움직임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본문내용
(1) 정의
- 어깨의 관절은 상완골, 견갑골, 쇄골이 관절을 이루고, 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등 4개의 근육이 회전근개를 이룬다. 회전근개는 상완골의 대, 소결절에 부착되어 있으며, 근육은 상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시 외회전 회외운동을 돕는다. 정상적인 어깨의 움직임은 회전근개 근육의 평탄한 활동으로 이루어지나, 과도한 관절운동이 반복되어 힘줄의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거나, 외부의 힘에 의해 근육이 손상을 입을경우 4개의 근육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됨으로써 팔과 어깨에 통증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회전근개 파열이라고 하며, 어깨를 들고 돌리는 힘줄이 끊어짐으로써 통증이 발생하고, 팔의 움직이는 힘이 약화 되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나이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운동 및 무거운 짐을 옮기는 등의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하나 젊은 연령에서 전층 파열은 흔치 않은 문제이다.
(2) 원인
- 회전근개 부분의 혈액 순환 저하 등 나이의 증가에 따른 퇴행성 변화
- 외상 및 무거운 것을 옮기거나 드는 경우
- 어깨 관절 전방 탈구
- 과도한 사용, 특히 장기간 사용하지 않다가 갑작스레 과도히 사용하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려 사용하는 경우
- 어깨 힘줄의 점차적인 약화
(3) 병태생리
- 회전근개의 위쪽에는 견봉이 존재하며, 그 사이에는 점액낭이 존재한다. 점액낭은 회전근개와 견봉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회전근개를 보호한다. 하지만 회전 근육 힘줄의 노화와 같은 퇴행성 변화와 지속적이고 과도한 어깨의 사용은 점액낭과 회전근개 부위의 염증을 발생시키고, 대결절부 사이를 좁게 함으로써 근육과 힘줄을 약화시킨다. 지속적인 근육과 힘줄의 손상은 결국 회전근개를 파열에 이르게 한다.
(4) 임상 증상
- 회전근개 파열의 증상은 통증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대부분 어깨 관절의 전방에서 통증이 느껴지고 팔을 사용할 경우 악화된다. 팔을 어깨 위로 올려 작업을 수행하거나, 물건을 들 경우 통증이 심해지며, 특히 야간에 악화하여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 박영희 외, 학지사메디컬, 2020
성인간호학2, 박영희 외, 학지사메디컬, 2020
EBN기본간호학2, 김종임 외, 수문사, 2018
성인간호학1, 윤은자 외, 수문사, 2019
성인간호학3, 김종임 외, 현문사, 2018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 및 재활치료, 이광인 외, 한미의학, 2018
KIMS 의약정보센터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