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정맥혈전증 Case Study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 퇴원교육
- 최초 등록일
- 2023.03.11
- 최종 저작일
- 2022.03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만든 Case입니다.
필요에 따라 첨삭하여 만드시면 A+은 기본으로 나오실 것 같습니다.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퇴원교육까지 포함되어있습니다.
간호진단 5개
#1 혈류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
#2 투약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3 혈류 순환 감소와 관련된 급성통증
#4 조직손상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5 보행 어려움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간호과정 2개
#1 혈류장애와 관련된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
#2 투약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Ⅱ.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목록
3.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후기
2. 퇴원교육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은 하지 통증 및 부종이 나타나고 조기에 치료를 하지 않으면 패색전증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르게하는 위험한 질환이다.
부산대병원 순환기계 병동에 실습하면서 한쪽 하지에 부종이 있는 환자를 보게되었고 이 질환에 대해 관심이 생겨 사례연구를 결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DVT의 증상, 원인, 병태생리, 진단, 치료, 간호 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 후 임상실습에서 대상자를 관찰하고 간호문제를 파악하여 간호과정을 설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한다.
1) 정의
혈전증이란, 혈관 안에서 액체 상태로 흐르는 피가 굳어 혈관이 막혀 피가 흐르지 못하게 되는 질환이다. 심장에서부터 동맥을 통해 나온 혈액이 여러 장기를 순환하고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 길인 정맥 중 근육 깊은 곳에 있는 심부정맥에 혈전이 생겨 발생하는 증상이다.
2) 원인 및 관련요인
혈전 형성은 보통 정맥정체, 과응고력 및 정맥별의 손상 등의 세가지 요인에 의해 오게되며, 이를 비르효의 세증후라고 한다. 혈전이 형성되려면 세 가지 중 적어도 두가지 상태가 있어야한다.
① 정맥정체: 장딴지 근육의 펌프가 없거나 움직이지 않으면 정맥정체를 초래하게 되며 그밖에 수술이나 비만상태, 임신 및 울혈성 심부전 시 초래할 수 있다.
② 혈액의 과응고력: 과응고력은 종종 장기암이나 난소암 같은 악성 종양 시 나타난다. 그리고 탈수와 혈액질환은 혈소판을 증가시키고 섬유소 용해를 감소시키며 응고 요인을 증가시키거나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③ 정맥벽의 손상: 정맥벽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는 정맥 내 주사, 폐색성혈전혈관염, 골절 및 탈골, 경화제로 인한 화학적 손상, X-선 불투과성 염료,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몇 가지 항생제 등이다. 정맥벽의 손상 결과 그곳에 혈소판을 끌어 모으고 혈액 찌꺼기가 축적되게 된다. 이는 혈류가 느려지고 과응고력인 상태와 합해져서 그 결과 혈전을 형성한다.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심부정맥혈전증”
약학정보원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2019), 현문사, 서울
서울대학교병원, “심부정맥혈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