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 전자 간 골절이란 대퇴골 상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부위의 골절로 노인에게 자주 일어난다.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많이 일어난다. 골절의 원인으로는 추락이나 교통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많지만, 고령의 환자들의 경우는 대부분 90%가 낙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대부분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삼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으로 골절의 형태를 파악하고, 불완전 골절이 나타난 경우에는 MRI로 최종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2) 임상증상 (Clinical Manifestation)
① 대퇴 골두의 외반 변형과 하지의 외 회전 변형이 발생한다.
② 골반 부위의 심각한 통증이 나타난다.
③ 다친 부분의 다리에 힘을 줄 수 없다.
④ 골반부 주위가 경직되고 멍이 들며 부풀어 오른다.
⑤ 다친 쪽의 다리가 짧아진다.
⑥ 다리가 바깥쪽으로 돌아간다.
(3) 치료 (Treatment)
①비수술적 요법 (보존적 요법)
: 대퇴 전자는 혈액공급이 풍부해 비수술적인 요법으로 치료해도 뼈가 유합된다. 마취나 수술에 위험이 따르는 환자나 만성질환이나 암으로 예상 수명이 얼마 남지 않은 환자, 기존 질환(중풍, 하지마비 등)으로 걸을 수 없으며, 골절부에 통증이 많지 않은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하지만 비수술적 요법 후에는 대퇴골 두의 변형이 자주 발생한다.
참고자료
· 기본간호학1. 양선희 외. 현문사. 2013
· 기본간호학2. 양선희 외. 현문사. 2013
· 성인간호학2. 김근순 외. 수문사. 2016
· 네이버.“대퇴 전자간 골절”. http://blog.naver.com/today1209/80172082224. (2017.3.1.)
· 네이버,“대퇴 전자간 골절”. http://blog.naver.com/mmronna1005/220836865231. (2017.3.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