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청소년시설(청소년문화의집, 청소 년수련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진로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개인 의견을 쓰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3.15
- 최종 저작일
- 2020.08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청소년지도사 과정 중 청소년활동론 과목 레포트, 최우수점수 취득이므로 참조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 진로교육의 개념
2. 청소년 진로교육의 필요성
3. 청소년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
4. 지역사회 청소년시설의 역할
5. 지역사회 청소년시설의 진로교육프로그램 사례
□ 성남시청소년수련관 : 중원청소년수련관
① 기 간 : 2019년 3월~12월
② 장 소 : 중원청소년수련관 및 외부활동장소
③ 대 상 : 성남시 청소년 및 학부모, 기업, 지역주민 등
④ 인 원 : 210명(연210명)
⑤ 프로그램 내용
6. 제시된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청소년들의 주요 고민거리는 학교 성적 문제, 친구문제, 이성문제, 가정문제 등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진로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진로문제는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앞으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고민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진로교육이란 ‘개인의 진로선택, 적응, 발달에 초점을 둔 교육으로써 각 개인이 자기 자신과 일의 세계를 인식 탐색하여 자기 자신에게 적합한 일을 선택하고, 선택한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취학 전부터 평생 동안 학교, 가정, 지역사회 등 에서 교육하고 도와주는 활동’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이 정의에 의하면 진로교육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 져야 하고,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과 지역사회에서도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로교육은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고 준비하여 진로를 선택하며, 선택한 진로에 들어가서는 계속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 청소년시설에서 현재 많은 프로그램들을 통해 공교육과 함께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론에서는 청소년 진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목표 등을 정리하고 지역사회 청소년시설(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수련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진로프로그램의 사례를 들어 이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청소년 진로교육의 개념
진로교육(caree education)은 한 가지의 대학진학을 돕기 위한 선택방법만은 아니다. 그것을 포함한 모든 취업이나 진학 그리고 직업세계의 탐색과 적응을 위한 지도, 인생의 미래에 누구나 가져야 할 직업적성에 알 맞는 직업지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진로지도와 취업지도의 상위개념으로서 학생들의 장래에 대한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순조롭게 이루기 위한 개인능력 또는 잠재 가능성을 토대로 생산적으로 행복된 사회성원으로 육성하는 데 보다 밀접하게 관련되고 공헌된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
참고 자료
진로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2020), http://blog.daum.net/kj0650/5013254
4차산업혁명과 진로교육(2020), https://www.crezone.net/cr-includes
청소년활동론(2020), 장미숙, 여기스터디학습자료
청소년활동론(2019), 진은설외 3인, 학지사
청소년 진로체험활동의 실태와 발전방안 모색(2019), 김기헌, 오늘의 청소년(2019하반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