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골관절염에 대한 TKA 수술 후 케이스스터디입니다. 총 6개의 간호진단을 내렸고 그 중 3개를 간호과정으로 작성했습니다.
간호과정으로 작성한 진단은 다음 3개 입니다.
#1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
약물 조사 뿐만 아니라 간호과정 가운데에서도 상당히 꼼꼼히 진행했습니다.
퇴행성골관절염에 대한 TKA 수술 후 케이스스터디입니다. 총 6개의 간호진단을 내렸고 그 중 3개를 간호과정으로 작성했습니다.
간호과정으로 작성한 진단은 다음 3개 입니다.
#1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
약물 조사 뿐만 아니라 간호과정 가운데에서도 상당히 꼼꼼히 진행했습니다.
목차
1. 간호력
2. 질병에 대한 기술
3. 대상자의 간호사정
4. 약물
5. 간호진단
본문내용
질병진행과정 (Process of Disease)
상기 환자 2021년 10월 13일 내원 약 2개월 전부터 시작된 knee pain 주호소로 swelling에 대하여 Lt TKA(total knee arthroplasty) 위해 도보로 응급실 통하여 내원함. op 위해 입원함.
BP 124/73mmHg, BT 37.2℃, PR 80회/분, RR 18회/분 임.
162cm, 53kg, 혈액형 AB+
10/13 HD#1
14:35 PM 대상자 환경변화와 입원으로 불안감 있으며, Lt Knee 통증 호소하며 NRS 점수 3점임. 전환 요법과 통증부위 지지해주었으며, 다리 올려주는 체위 취함.
10/14 HD#2
08:30 AM Lt knee 부위 NRS 3점
14:51 PM Lt knee 부위 NRS 3점
18:47 PM 10/15 수술 위해 금식하도록 함.
19:20 PM 관장 실시후 20:00 PM 환자 정상 대변 봄.
22:52 PM Lt knee 부위 NRS 3점
10/15 HD#3 OP DAY
06:17 AM 수술 전 불안감 표현하였음. 이후 08:20 AM 눕는차 통해 수술실로 이동하였으며 11:30 AM 병실로 돌아 옴. Lt long leg 탄력붕대 적용중이며 수술부위 사정함. 통증부위는 수술부위이며, 쑤시는 느낌이라고 말함. 수술 상처는 oozing이 없으며 dressing 적용중임. barovac으로 배액중임. PCA, Hemovac, Foley catheter 적용함.
antiembolic stocking 착용하였으며 금식하도록 함.
수술 부위 Lt leg 통증 호소하여 통증 사정 시 쑤시는 느낌이었으며, NRS 7점이라고 답함.
“너무 아파요. 막 쑤시는 것 같아요.”
11:45 AM Lt leg NRS 3점임. 14:47 PM Lt leg NRS 3점임.
22:02 PM Lt leg NRS 3점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