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A+ Spinal Stenosis (척추관 협착증)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1.11.24
- 최종 저작일
- 2018.05
- 3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수님한테 칭찬받은 A+ 자료로 피드백 받고 수정까지 한 최종본입니다!
전부 꼼꼼하게 작성했고 진단 6개, 간호과정은 욕창위험성으로 작성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임상 증상
5. 진단검사 및 결과
6. 치료 및 간호
7. 사례연구 목적
Ⅱ. 본론(자료수집 및 간호과정)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질병명 : Spinal Stenosis L3-4, L4-5
1. 정의
: 척추관(Spinal Canal)이란 앞으로는 척추뼈의 앞부분인 추체(Vertebral body), 추간판(디스크, Intervertebral disc), 뒤로는 척추뼈의 뒷부분인 추궁판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으로 척추관은 두개골 하부로부터 경추, 흉추, 요추, 천추로 연결되며 척추관 내에는 상요추까지는 연수에서 연장되는 척수가, 그 하부에는 척수에 연결되는 신경근의 다발인 마미(Cauda equine)가 존재한다.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이란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를 말하며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 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오랜 시간 뼈, 인대, 근육 등이 퇴화하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눌러 나타나는 질환이다.
2. 병태생리
: 요추의 한 분절은 3개의 관절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두 개의 후관절과 한 개의 추간판(디스크)이다.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여 추간판 간격이 좁아지고 이로 인하여 후관절에 가해지는 하중 특성이 변화한다. 이후 후관절막이 변성되어 비정상적 운동이 일어나고,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 비후 및 황색 인대의 비후를 유발한다. 이러한 일련의 퇴행성 변화로 척추관의 용적이 감소한다.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은 황색 인대 비후, 추간판 돌출, 척추 전방 전위증, 후관절 비후, 퇴행성 후관절 낭종 등으로 발생한다. 보통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은 추간판 부위에서 비후된 후관절이 척추관 내로 침입하여 발생하는데 상위 척추의 하관절 돌기가 비후된 것이 주요인이다. 연부 조직 비후로 인한 척추관 협착증은 중심성 척추관 협착증의 40%를 차지하는데, 추간판 간격이 좁아지며 후관절의 아탈구가 발생하여 척추관의 상하 길이가 감소한 결과이다. 즉 황색 인대, 후관절막, 후종 인대 등의 연부 조직이 척추관 횡단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여 척추관 협착증을 유발한다.
참고 자료
이은희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황옥남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양선희 외 공저(2019). 기본간호학 II 제 3판.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