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활동휴식 자료(순환기계 기능과 구조, 관련 간호사정, 급성심근경색 관련 간호 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순환기계 구조와 기능
2. 순환기계 관련 주요 간호사정
3. 심전도(심근손상 심전도, 심방조동, 심방세동, 심실조기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4. 급성심근경색의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치료방법, 예후
5. 급성심근경색 대상자의 주요 간호문제와 간호중재
6. 핵심기본간호술: 경구투약,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적용,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순환기계 구조와 기능
1) 심장: 종격동에 위치
(1) 심방과 심실
심방
① 우심방
: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상태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을 받음.
② 좌심방
: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동맥혈(산화된 혈액)을 받음
심실
① 우심실
: 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 받아들여 폐동맥을 통해 폐로 보냄
② 좌심실
: 좌심방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여 대동맥을 통해 전신동맥순환계로 방출됨, 우심실보다 2~3배 두꺼움
(2) 심장막(심낭)
장측심장막
( = 심외막)
- 심장의 바깥층을 싸고 있는 얇고 투명한 장액성 막
- 심근과 장측심장막 사이에 지방조직과 심장 혈관이 분포
벽측심장막
- 심장의 가장 바깥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성 막
- 심장으로부터 나오는 큰 혈관과 횡경막과 같은 주위 구조물에 심장을 고정
심막강
- 장측심장막과 벽측심장막 사이의 공간
- 15~20ml 정도의 소량의 심장막액이 들어있어 심장 수축 시 표면 마찰을 줄이고 심장의 과도한 팽창을 방지
(3) 판막
방실판막: 심실에서 심방으로 역류 방지
반월판막: 대혈관에서 심실로 혈액의 역류 방지
① 삼첨판: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서 위치
② 이첨판(=승모판):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
① 폐동맥판막: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
② 대동맥판막: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