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받은 성인간호학 기흉 케이스 입니다.
교수님께서 문헌고찰부터 간호과정까지 표로 꼼꼼히 잘 정리해서 작생했다고 칭찬해주신 자료로 특히 간호수행을 상세하게 잘 적었다고 칭찬해 주신 케이스 입니다.
케이스의 핵심인 간호과정을 정성들여 아주 상세하게 작성하였으며, 교수님께 1차 제출 후 피드백 받아 2차로 수정하여 만든 과제로 따로 손 볼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하셔도 될 정도로 완성도가 높습니다.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종류
3. 임상증상
4. 발생률이 높은 사람
5. 치 료
6. 간호중재
Ⅲ. 대상자 사정
1. 사례
2. 검사 결과 (혈액검사, 진단검사( X-ray), V/S, I/O)
3. 수술
4. 약물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성인간호학 이론시간에 기흉과 호흡기계에 대해 전반적으로 학습하였다. 그 중 흉부밀봉배액에 관한 내용이 어렵고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이번에 실습 나가게 된 병동이 CS환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흉부밀봉배액을 하고있는 사람이 많았다. 이번기회에 흉부밀봉배액을 하는 대상자의 질환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간호와 배액체계에 대하여 더 공부를 해보고자 기흉대상자를 케이스로 선정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기흉(Pneumothorax)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면 흉막 내압이 상승하고 허파의 허탈정도에 따라 폐활량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기흉은 둔상에 의해 초래되기도 하며 혈흉을 동반하기도 한다.
2. 종류
1) 자연기흉(spantaneous pneumothorax)
①정의
- 외상 이외 다른 원인으로 흉막강 내로 공기가 누출되어 축적되는 상태로 폐가 허탈된다.
②원인
- 큰 수포의 파열(85%)
- 결핵성 병변의 흉막강 내 침식, 선천성질환, 기관지 천식,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 진폐증의 상흔으로 발생
③증상
-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 기침, 힘이 많이 드는 가쁜 숨, 혈압 하강, 약하고 빠른 맥박, 병소 흉부의 과공명음, 불안, 초조, 불안정, 발한, 창백함 또는 청색증, 기절, 흉부압박감, 허탈된 폐,호흡음 감소 또는 소실
④검사 및 간호
- 기흉 발생 시 얼마동안 안정하도록 권고하며, 회복될 때까지 정기적으로 X-선 검사를 하여 폐의 재 팽창이 잘 되는지 관찰하며 동맥혈액 가스분석을 실시한다.
2)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①정의
- 손상된 폐 조직을 통하여 흡기 시 흉막강 내로 들어간 공기가 호기 시에 나오지 못하여 발생한다.
②원인
- 흉곽의 둔기외상, PEEP에 의한 기계적 환기, 밀봉배액, 중심정맥관 삽입
참고 자료
조경숙 외(2018),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조경숙 외 (2018).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원종순 외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드러그 인포, https://www.druginfo.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기흉[Pneumothorax]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기흉[pneumothorax]
약학정보원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