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만 후 출혈 , 산후출혈 케이스 A+
다들행복합시다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분만 후 출혈, 산후출혈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 간호사정,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입니다.현직 여성병원 재직 중인 간호부장님께 칭찬받은 케이스입니다. 다른 분들이 올리신거보다 더 만족할 수 있을겁니다.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1.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 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1)일반적 특성
2)산과력과 월경력
3)건강력
4)건강문제와 관련된 사회문화 심리적 정보
5)수술 후 첫 건강사정
3. 검사
1)진단적검사
2)혈액검사
4. 투여 약물
5. 간호과정
1)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2)간호과정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1.해당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2020년 10월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통계청 집계 기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임신 또는 분만과 관련해 사망한 모성 사망자 수는 연평균 49.8명이었다. 기간별로 보면 2009년 60명, 2010년 74명, 2011년 81명, 2012년 48명, 2013년 50명, 2014년 48명, 2015년 38명, 2016년 34명, 2017년 28명, 2018년 37명 등이 임신 또는 분만으로 인해 사망했다. 출생아 10만 명당 사망하는 임산부를 뜻하는 모성 사망비도 2018년 기준 11.3에 달한다. 임산부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는 출산 후 출혈, 즉 산후 출혈이 지목되고 있다.
Ⅱ. 본론
1. 문헌고찰과 대상자 비교
질환명
분만 후 출혈(postpartum hemorrhage)
비교항목
정의
문헌조사
분만 후 출혈(산후 출혈)이란 질식분만 후 500ml이상이거나 제왕절개분만 후 1,000ml이상의 혈액손실이 있을 때로 정의한다. 또한 출산을 위한 입원 당시와 출산 후의 헤마토크릿의 차이가 10%이상일 때나 적혈구 수혈이 필요한 정도의 출혈이 발생했을 때로 정의 된다
사례보고서 대상자
-패드를 마지막으로 교체 한 이후의 시간은 약 2040 mL/hr의 출혈 속도를 나타냈다.
원인
분만 후 출혈의 원인으로는 자궁 이완증, 잔류 태반(태반의 일부가 자궁 내에 남아 있음), 자궁 뒤집힘, 산도 열상, 산후 골반혈종, 자궁 파열, 혈액 응고 능력의 부족 등이 있다. 정상적으로는 아기가 나온 뒤 약 5분 이내에 태반이 나온다. 그런데 자궁이 수축되지 않으면 태반이 붙어 있던 자리의 혈관에서 출혈이 지속될 수 있다. 자궁 이완증의 위험 요인으로 지연 진통, 급속 분만, 거대아, 다태아, 양수과다증, 자궁수축제의 과도 사용, 일부 마취제 사용, 산후 출혈 병력, 융모양막염 등이 있다. 또한 자궁이완증과 유착 태반이 동반될 경우 태반 만출 시 자궁 뒤집힘이 발생할 수 있다. 태반의 일부가 자궁 내에 남아있으면 산욕기 후반에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참고 자료
유은광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II. 서울: 현문사;2017. 213-225서울아산병원.분만 후 출혈Internet].서울;[cited 2020.11.20]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1
식품의약품안전처.중외옥시토신주Internet].서울: 약학정보원;1975[cited 2020.11.20.]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250
식품의약품안전처.MisoprostolInternet].서울: 약학정보원;2006[cited 2020.11.20]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4340A0040
식품의약품안전처.Morphine HydrochlorideInternet].서울:약학정보원;2016[cited 2020.11.20]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119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산후출혈(자연분만) 20페이지
산후출혈산모 간호과정 4페이지
여성케이스A+(산후출혈) 15페이지
산후출혈 케이스 12페이지
여성간호학 산후출혈 PPH 케이스 스터디/ A+ 받은 CASE STUDY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산..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