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과정(고관절치환술) 케이스스터디 및 문헌고찰, Vsim시뮬레이션
- 최초 등록일
- 2021.04.28
- 최종 저작일
- 2020.12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vsim 시뮬레이션을 통한 케이스스터디입니다.
성인간호학(정형외과,os)실습 vsim이고, 고관절치환술(Postoperative Hip arthroplasty)환자 케이스입니다.
자료가 정말 자세하고 시뮬레이션 중 나올 수 있는 모든 정보를 담아서 이거 하나면 과제하시는데 충분하실거에요
진단 총 7개 세웠고 모두 진단세운 이유와 우선순위 결정 이유 작성했습니다.
그 중에서 3개 간호과정 작성했습니다. 이론적 근거에 모두 출처를 달아서 교수님에게 칭찬 들었습니다. 교수님 피드백 후 수정된 완성본입니다.
#1. 수술로 인한 혈액소실과 관련된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2. 수혈 부작용과 관련된 급성 통증
#3.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 요인: 어지러움, 기동성 저하, 낙상의 과거력, 연령 등)
#4. 제한된 움직임과 관련된 욕창의 위험
#5. 수술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6. 빈혈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위험
#7. 수혈부작용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목차
1. 환자자료수집
2. 진단적 검사
1) 특수검사
2) 혈액검사
3. 투여 약물(용량 및 용법, 적응증, 부작용)
4. 간호과정
1) 비정상적 자료목록
2) 간호진단(7개): 우선순위 설정 이유 기재
3) 간호과정(3개)
5. 문헌고찰
1) 질환에 대한 자가학습
2) 수혈반응
6. 참고문헌
본문내용
- 입원 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대상자는 76세 남성으로, 이틀 전(12/06) 실외에서 넘어져 대퇴부 골절상을 입고 좌측 고관절 성형술을 받기 위해 응급실 통해 내원하였습니다. 수술 후 배액관을 모두 제거하였고, 12월 8일 오전 드레싱 교체하여 현재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입니다. 대상자는 물리치료로 인한 피로와 체위변경 시 어지러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대상자 활력징후는 stable 하고, 오늘 오전에 실시한 Full blood count 검사 결과 Hb 69g/L(125-175), Hct 23%(42-53)로 정상보다 낮은 상태로 2 unit packed RBC 처방 받고 1 unit 수혈 중 back pain 호소하는 Blood transfusion reaction으로 즉시 수혈 중단 후 혈액은행에 알렸습니다. 통증 사정 결과 NRS 2점의 통증을 호소하였습니다. 또한 대상자 활력징후 측정 결과 HR: 98회/min, BP: 114/74mmHg, RR: 19회/min, SPO2: 94%, T: 37도로 측정되었습니다. 이후 Normal saline 100ml/hr로 IV infusion 시작하였고, 소변 샘플과 정맥혈 샘플을 채취하여 검사실에 의뢰하였습니다.
<중 략>
C. 간호진단 (우선순위에 따라 서술하기)
#1. 수술로 인한 혈액 소실과 관련된 비효율적 말초조직 관류의 위험
말초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항상 적절한 관류를 유지해야한다. 대상자는 고관절성형술(hip arthroplasty) 2일차로, 해당 수술은 출혈량이 많은 수술이며, 그로 인해 대상자의 피부색은 창백하고, 혈액검사 결과 Hb 69(125-175), Hct 23 (42-53%)로 평균보다 상당히 낮은 상태이다. 따라서 대상자는 어지러움, 무기력 등을 호소하고 있으며 packed RBC 2 unit 처방이 나있는 상황이다. 또한 말초조직 재충만 시간을 사정한 결과 5초로 정상(<2초)보다 지연된 상태이다. 조직의 관류는 대상자의 생사와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1순위로 설정하였다.
참고 자료
교과서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1,2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1,2
성미혜외,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드러그인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대한정형외과학회[고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형외과[인공고관절수술]
MSD, 수혈 중 예방조치와 유해반응
(자료 구매후 더욱 자세한 참고문헌이 제시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