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탈출증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21.01.25
- 최종 저작일
- 2020.02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추간판탈출증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있습니다.
A+ 받은 과제로 간호사정,lab, medication, 문헌고찰 모두 자세히 깔끔히 정리했습니다.!
간호과정도 꼼꼼히 넣어서 교수님께서 칭찬해주셨던 과제입니다 !!
많은 도움 되길 바랄게요 !!
목차
1. 간호사정
2, 신체검진
3. 사례
4. lab 검사
5. Medication
6. 문헌고찰
7. 간호진단,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질환명 : 추간판 탈출증(herniated intervertebral disk)
② 질환관련 해부생리학적 구조
- 추간판(intervertebral disk) : 인접한 추골(척추, vertebra)중심 사이에 놓여있어서 각 척추의 추체를 연결하는 구조로 척추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역할을 한다.
- 추간판은 연골판과 수핵과 섬유성막인 섬유륜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이가 들수록 용적과 탄력성이 감소되어 압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진다.
- 수핵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감소하고 탄력성이 소실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점차 저하된다. 외력으로 인해 수핵이 약해진 섬유륜을 밀고 돌출되면 신경근을 압박하여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낸다.
- 돌출은 어느 부분에서나 일어날 수 있으나 흉추디스크는 드물다.
- 돌출은 자연발생적 또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낙상 같은 외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③ 질환의 병리적 정보
㉠ 질환의 원인
- 추락이나 척추의 굴곡운동, 구부정한 자세에서 반복적으로 물건 들어올리기, 진동하는 기계를 작동하는 일, 심한 육체적 노동, 격렬한 운동, 허약한 복부와 등근육 모두 추간판 탈출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추간판 탈출증환자의 50% 이상이 이전에 등 손상을 받은 병력이 있다.
- 유전적인 소인은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에서 볼 수 있다. 40~60세 남자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흔히 발생하는 곳으로는 L₄₋₅, L₅-S₁(90~95%), C₅₋₆, C₆₋₇(5~10%)이다.
㉡ 질환의 증상
- 경추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은 목 경직, 팔과 손으로 방사하는 어깨통증, 손의 지각이상 및 감각장애가 나타남.
-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은 둔부와 하지로 방사되는 좌골신경통이 발생
통증은 척수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요인(기침, 재채기, 배변, 구부리거나 물건을 들어 올릴 때, 다리를 똑바로 뻗쳐 올렸을 때)에 의해 악화되고 안정 시 완화된다.
근육경련 및 심부건 반사의 악화와 감각의 감퇴가 나타난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추간판 탈출증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김근순,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2017).
심옥수, 장은정.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2015).
김정애,박영선 쉽게 내리는 간호진단. 수문사(2015)
김강미자 외,『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06
원종순 외3명 (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현문사 PP 185-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