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6
문서 내 토픽
-
1. 오실로스코프와 DMM의 측정 비교오실로스코프와 DMM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 신호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오실로스코프는 주파수가 높은 영역에서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DMM은 저주파 영역에서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DMM의 내부 회로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
2. DC와 AC 신호 측정오실로스코프와 DMM을 이용하여 DC와 AC 성분이 포함된 신호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DMM의 DC 모드와 AC 모드에서 각각 다른 값이 측정되는데, 이는 DC 성분과 AC 성분을 각각 측정하기 때문이다.
-
3. 오실로스코프의 접지 이해오실로스코프의 두 채널 입력 단자의 접지가 내부에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고려하여 회로를 구성해야 올바른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4.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저항 이해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저항이 1 MΩ으로 제한되어 있어, 측정 대상 회로에 loading effect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5. External Trigger 이해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오실로스코프의 Trigger를 설정하면, 입력 신호가 계속 변화해도 안정적으로 파형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1. 주제2: DC와 AC 신호 측정DC(직류)와 AC(교류) 신호는 전자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C 신호는 일정한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반면, AC 신호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화합니다. 오실로스코프와 DMM은 이러한 DC와 AC 신호를 모두 측정할 수 있습니다. DC 신호 측정 시에는 DMM이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값을 제공하지만, AC 신호 측정 시에는 오실로스코프가 파형의 모양과 주파수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더 유용합니다. 또한 오실로스코프는 AC와 DC 신호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어 회로 분석에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측정 목적에 따라 DC와 AC 신호 측정에 적합한 장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주제4: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저항 이해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저항은 측정 대상 회로에 미치는 부하 영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저항이 낮으면 측정 대상 회로에 큰 부하가 걸려 회로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입력 저항이 높으면 회로에 미치는 부하가 작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오실로스코프는 1M옴의 높은 입력 저항을 가지고 있어 회로에 미치는 부하가 작습니다. 하지만 고주파 신호 측정 시에는 입력 저항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할 때는 입력 저항 값을 확인하고, 측정 대상 회로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입력 저항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6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07
-
(21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 13페이지
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요약: 10 인 정현파 신호를 Function generator를 통해 인가하고 DMM과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이 입력신호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주파수가 100Hz, 그때의 전압 실효값 7.071V를 기준점으로, DMM에서는 주파수가 100KHz일 때는 7.17V, 300KHz에 8.052V, 700KHz에서 3.57V, 1MHz에서 0.421V까지 떨어지면서 주파수가 커질수록 DMM이 계측기로써 역할을 못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오차는 1MHz에...2022.08.22· 13페이지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3페이지
설계실습 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요약Common Emitter Amplifier를 설계하기 위해 BJT(2N3904)와 커패시터,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고 오실로스코프로 출력파형을 관찰하였다. DC Power Supply만 연결하고 입력단은 ground에 연결한 상태에서 DC Bias parameter를 측정하였고 이후에 Function Generator를 입력단에 추가적으로 연결해 AC parameter인 output voltage와 gain 등의 값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고 표로 작성...2023.02.12· 3페이지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 설계 13페이지
DMM을 사용해 power outlet 두 개의 접지 단자 간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 0.14 [mVrms]가 나왔다. 이는 매우 작은 값이므로 power outlet 두 개의 접지 단자는 동일한 접지 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power outlet에서 접지와 단자의 전압은 109.9, 110.0 [V], 단자와 단자의 전압은 220.3 [V]로 측정되었다. 함수발생기로 출력을 1 Vpp로 설정하고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면 약 2배의 값인 2.03 [V]가 측정되었다...2023.02.06· 13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 A+ 결과보고서 12페이지
※ 다른 지시가 없다면 측정값은 유효숫자 세 자리까지 기록한다.※ 실험시작 전에 조교의 지시에 따라 DMM과 DC Power Supply의 전원선을 220 V power outlet(소켓)에 연결한 후 전원버튼을 누른다. 모든 전기전자 장비는 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 는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전원을 켠 후 10분 정도 기다렸다가 측정해야 한다. 전원선은 반드시 접지단자가 있는 220 V power outlet(소켓)에 연결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주의: DMM이 ...2022.09.15· 12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 14페이지
실험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요약: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류전원에 계측장비를 연결한 상태에서 접지단자끼리의 전압을 측정해보고, 벽면 내부의 교류전원 배선도를 그려보았다.FG의 전압을 오실레이터와 DMM으로 측정하여 rms값과 Vpp값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DMM은 전압을 측정할때의 회로가 OPAMP를 이용하기 때문에 FG의 입력주파수에 의하여 측정값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오실로스코프의 접지단자가 서로 연결되있음을 이해하고, 오실레이터와 DMM을 교류전원에 연결할 시 접...2020.09.06·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