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의 원인(심리학적 관점)
문서 내 토픽
  • 1. 생물학과 아동학대
    사회생물학자들은 자연선택과 적자생존과 같은 다윈의 이론을 아동학대와 같은 인간행동에 적용한다. Reite(1987)는 인간의 아동보호와 방임의 요소와 동물의 새끼보호와 방임 간에는 공통 요소가 있다고 본다. Hrdy(1977, 2009)는 어떤 종의 원숭이들의 경우, 새끼가 있지만 수컷이 없는 암컷과 짝짓기를 하려는 수컷들이 암컷의 새끼들을 죽이는 현상을 자신의 종을 번식시키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이론은 유전적인 능력과 무의식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였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으나, 편견을 부추기고 인간행동을 너무 무의식에 의존해 설명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Corby, Shemminas, & Wilkins, 2012).
  • 2. 애착이론과 아동학대
    Bowlby(1951)는 초기 생애 5년 동안의 모와 아동의 분리는 정서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이후 생애에도 여러 다양한 심리적 ? 사회적 어려움을 야기한다고 말한다. Crittenden과 Ainsworth(1989) 역시 유아에 대한 비반응적이고, 거부적이며 일관적이지 못한 반응은 분노, 불안, 자존감의 상실과 다른 이와 관계를 맺는 능력의 제한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애착이론은 애착이 잘못 형성된 어머니에 의한 아동학대, 즉 아동학대의 세대 간 전수를 설명한다. 그러나 아동학대 피해 경험이 있는 상당수의 부모들이 자녀를 학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못하며, 주로 모(주 양육자)-자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가족 전체의 역동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Corby, Shemmings, & Wilkins, 2012).
  • 3. 정신역동이론과 아동학대
    Steel과 Pollcok(1974)는 좌절시키는 양육자에 대한 분노를 수반한 공격적 충동이 엄격한 초자아(superego)와 겹쳐지면 강한 죄의식이 유발되고, 이 죄의식이 자기에 대한 공격으로 변했다가 아동을 부모 자신의 잘못된 자아가 형상화된 것이라고 보게 되면, 처벌적인 초자아(superego)의 공격성이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향할 수 있다고 본다. Finkelhor와 동료들(1986)은 성학대를 정신역동이론으로 설명한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성학대자들은 심리성적(psychosexual) 발달이 정체되어 있어서 아동의 정서적 수준에서 관계를 맺는 선택을 한다는 연구 흐름과,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낮아서 아동을 희생함으로써 지배력과 통제감을 얻고자 한다는 연구 흐름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정신역동이론은 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개인에게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는 한계가 있다(Corby, Shemmings, & Wilkins, 2012).
  • 4. 학습이론과 아동학대
    학습이론은 행동이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형성 ? 학습된다고 본다. 따라서 아동학대는 성격적 요소나 애착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역기능적인가동양육을 학습하였거나, 기능적인 아동양육법을 학습하지 못한 결과라고 본다. Dubanoski와 동료들(1978)은 부모가 자녀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기술이 부족한 경우 혹은 부모가 고의적으로 처별적인 아동양육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아동학대가 발생한다고 한다. 학습이론은 새로운 기술과 자기통제력 등을 가르치는 등의 다양한 해결방법으로 아동학대부모가 변화할 수 있다고 본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학대행위자에게만 초점을 두고 더 법은 관계를 무시하며, 문제를 너무나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다(Coiby, Shemmings, & Wilkins, 2012).
  • 5. 아동학대에 대한 인지적 접근
    인지이론은 아동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인지를 강조한다. Newberger와 White(1989)는 부모의 인식 수준 모델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수준은 아동을 단순히 부모 자신의 확장으로 보는 것이다. 두 번째 수준은 부모가 아동에게 인습적인 역할부여를 하는 것이다. 세 번째 수준은 아동을 변화하는 욕구가 있는 개인으로 보는 것이다. 학대는 주로 첫 번째 수준에 있는 부모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대부분의 부모는 시간과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외부의 도움 없이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는 반면에, 어떤 부모들은 그렇지 못하므로 부모가 아동을 각기 다르게 보도록 개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하다. 인지이론도 사회적 맥락에 충분한 관심을 두지 않는 한계가 있지만, 변화를 도모하는 사람들의 역할을 지지해준다(Corby, Shemmings, & Wilkins, 2012).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생물학과 아동학대
    생물학적 관점에서 아동학대는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전적 요인, 신경생물학적 요인, 호르몬 불균형 등이 아동학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학대받은 아동은 스트레스 반응 체계의 이상, 뇌 구조 및 기능의 변화 등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아동의 인지, 정서, 행동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이해와 함께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2. 애착이론과 아동학대
    애착이론에 따르면 아동이 양육자와 형성하는 애착 관계의 질이 아동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아동학대는 이러한 애착 관계를 손상시키며, 이는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대받은 아동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하게 되며, 이는 대인관계 형성의 어려움, 낮은 자존감, 정서 조절 능력의 부족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양육자와 아동 간의 건강한 애착 관계 형성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3. 정신역동이론과 아동학대
    정신역동이론에 따르면 아동학대는 부모의 내적 갈등, 무의식적 동기, 정신병리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학대하는 부모는 자신의 어린 시절 경험으로 인한 내적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이를 자녀에게 투사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정신병리, 예를 들어 자기애적 성향이나 경계선 성격장애 등은 아동학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부모의 내적 세계와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와 함께 부모-자녀 관계의 역동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 4. 학습이론과 아동학대
    학습이론에 따르면 아동학대는 부모가 학대 행동을 학습하고 이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부모가 자신의 어린 시절에 학대를 경험했다면 이를 자신의 양육 방식으로 내재화하게 되며, 이는 세대 간 학대 행동의 전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모가 학대 행동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아동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학습하게 되면 학대 행동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부모의 학습 경험과 행동 패턴에 대한 이해와 함께 긍정적인 양육 방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5. 아동학대에 대한 인지적 접근
    인지적 접근에 따르면 아동학대는 부모의 왜곡된 인지와 신념에서 비롯될 수 있다. 부모가 아동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거나 아동의 행동을 부적절하게 해석하는 경우, 이는 부모의 스트레스와 분노를 유발하여 학대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모가 자신의 학대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최소화하는 인지적 왜곡을 가지고 있다면 학대 행동이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아동학대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부모의 인지적 특성과 신념 체계에 대한 이해와 함께 건강한 양육 신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아동학대의 원인(심리학적 관점)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8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