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간호과정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진단1+과정1)
문서 내 토픽
  • 1.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54세 남성 환자는 COPD와 천식의 기왕력이 있으며, T12 압박골절로 수술을 위해 입원 중 호흡곤란이 심해져 중환자실에 입실하였습니다. 간호사정 결과 의식상태는 기면이었고, 호흡곤란으로 침상안정 중이었으며 청진 시 쌕쌕거리는 천명음이 들렸습니다. 활력징후는 혈압 130/80mmHg, 맥박 102회/분, 호흡 49회/분, 체온 37.2도였습니다. 임상검사 소견으로는 WBC 19.570/mm³, RBC 3.04×10?/ul, Hb 9.0g/dl, Hct 26.5%, neutrophil 93.6%, CRP 79.49g/dl이었고, ABGA 결과 pH 7.42, PaCO₂ 54mmHg, PaO₂ 131mmHg, HCO₃? 35.0mmol/L, SpO₂ 88%였습니다. 흉부 X-선 검사 결과 Rt pneumothorax known ARDS 소견이 있었습니다. 간호진단은 '호흡곤란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였으며, 간호계획으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산소요법 시행, 호흡근육 훈련, 금연 교육, 입술 오므리고 횡경막 호흡 교육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은 심각한 폐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폐 내 염증 반응으로 인해 폐포가 손상되어 산소 교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폐렴, 패혈증, 외상, 흡인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청색증, 저산소증 등이 나타나며, 신속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법으로는 기계 환기, 산소 공급, 약물 치료, 체외막 산소화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스테로이드, 항염증제, 항산화제 등의 약물 치료와 함께 보조적인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ARDS의 사망률은 여전히 높은 편이므로, 예방과 조기 발견,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향후 ARDS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 증진과 더불어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호흡기계 간호과정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진단1+과정1)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2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