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tihistamines 항히스타민제
문서 내 토픽
-
1. 히스타민히스타민은 비만세포, 호염구, 임파구, 신경세포, gatric enterochromaffin-like cells 등의 많은 조직에서 발견되는 생체아민으로 국소적으로 분비되어 인근 세포들의 기능적 활성을 증사기키거나 억제하는 autocoid다. 히스타민은 폐, 혈관민무늬근, 혈관내피세포, 말초신경에서 H1 receptor에 작용한다. 폐에서 기관지 수축을 일으켜 천식증상을 나타내며, 혈관민무늬근에서 모세혈관후 세정맥 확장, 말단세동맥 확장, 정맥수축을 일으켜 피부발적을 나타낸다. 혈관내피세포의 수축과 분리를 일으켜 부종과 구진 반응을 나타내며 말초신경의 구심성 신경말단을 감작시켜 가려움증과 동통을 일으킨다. 히스타민은 심장, 위장에서는 H2 receptor에 작용하며, 심장수축과 심박수의 미세한 증가와 위산분비의 증가를 일으킨다. H3 receptor는 대뇌겉질, 바닥핵, 시상하부의 돌기유두핵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의 부분에 연접 전 신경세포에 주로 존재하며 히스타민이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한다.
-
2. 항히스타민제항히스타민제는 비염, 결막염, 두드러기 및 가려움증 등의 알레르기 증상을 치료하는데 가장 유용하다. H1-항히스타민제는 부종 및 팽진 형성에 가장 필수적인 모세혈관 투과도 증가를 강력하게 봉쇄하며, 이로 인해 이들 약물은 알레르기 반응이 시작된 이후 보다는 시작 전에 예방적으로 사용될 때 효과가 뛰어나다. 대표적인 1세대 H1-항히스타민제로는 Dihenhydramine, hydroxyzine, chlorpheniramine, promethezaine 등이 있다. 1세대 H1-항히스타민제제는 생리적 pH상태에서 중성을 나타내며, 혈액-뇌장벽을 잘 통과하는데, 중추신경계에서 히스타민성 신경세포의 작용을 억제한다. 2세대 H1-항히스타민제제에는 loratadine, cetirizine, fexofenadine 등이 포함되며 생리적 pH에서 이온화되며 혈액-뇌장벽을 잘 통과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2세대 H1-항히스타민제는 낮은 중추신경계 투과도를 가져 졸음(중추신경계 억제효과)과 구강건조(항콜린성 효과)가 비교적 덜 나타나게 된다.
-
3. H2 receptor antagonistSelective H2 receptor antagonist의 경우 히스타민에 의한 위산분비를 억제하며, 대표적으로 Cimetidine과 ratidine이 있다. 이들 약제들은 위벽세포의 H2 수용체에 결합하는 히스타민의 가역적, 상경적 길항제로 작용하여 위산분비를 감소시킨다. 임상 적응증은 위산역류질환 및 소화성궤양 질환이다.
-
1. 히스타민히스타민은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주로 알레르기 반응, 염증 반응, 위산 분비 등에 관여하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히스타민의 과도한 분비나 불균형은 알레르기 증상, 두드러기, 소화기 증상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히스타민의 작용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관리는 우리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항히스타민제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경구 투여, 주사, 외용 등 다양한 투여 경로를 통해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 개인차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 외에도 알레르기 증상 관리를 위해 생활 습관 개선, 원인 물질 회피 등 다양한 방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알레르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3. H2 receptor antagonistH2 receptor antagonist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로, 주로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히스타민이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위산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H2 receptor antagonist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편이지만, 장기 사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식이 요법, 생활 습관 개선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H2 receptor antagonist는 위장 질환 관리에 있어 중요한 약물이지만, 개인차와 부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Antihistamines 항히스타민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6
-
Anaphylaxis 아낙필락시스1. Definition of Anaphylaxis 아나필락시스는 감작된 사람이 특이 항원에 노출 후 수 초에서 수 분 사이에 발생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관을 침범하는 생명에 위협적인 전신 알레르기 반응이다. 2. Pathophysiology of Anaphylaxis 대부분의 아나필락시스는 IgE와 IgE의 수용체 사이의 상호 연결을 포함하는 기전을...2025.01.13 · 의학/약학
-
중환자실 응급약물1. Lasix Lasix는 고혈압, 심성부종, 신성부종, 간성부종, 급성 폐부종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이뇨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1회 20~40mg을 투여하며, 소아의 경우 1mg/kg을 정주 또는 근주합니다. 무뇨, 저나트륨·저칼륨혈증, 중증간장애, 설폰아미드계 과민증, 신부전 등이 금기이며, 진행성 간병변, 심한 관동맥 경화증, 중증 신장애, 간...2025.01.22 · 의학/약학
-
[약리학, 약물] 오타코이드 및 관련 약물 들어가기 전, 히스타민(histamine), 항히스타민제, 세로토닌, 세로토닌 작용제, 세로토닌 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정리 [핵심 약리학, 은학사, 교과서 정리, 핵심정리, 요약, 요점] 2페이지
# 오타코이드 및 관련 약물 들어가기 전..- Autacoid는 생체 내의 생리활성물질 중 호르몬과신경전달물질과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약물로는..① histamine (히스타민)② serotonin (세로토닌)③ prostaglandin (프로스타글란딘)- 그리스어의 autos(self)+akos(medical agent)의합성어를 가진 Autacoid는 국소호르몬이라고 불림.# 히스타민(histamine)-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자극에 대하여 신체가 빠른방어 행위를 하기 위해 분비하는 유기물질 중 하나임.-...2023.07.04· 2페이지 -
성인간호실습 사전학습(관상동맥중재술등 관련) 6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II사전학습이름학번교과목명지도교수1. 관상동맥중재술에 대해 기술하시오.(1) 정의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이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인 환자의 막힌 관상동맥의 협착 부위를 넓혀 주는 시술법이다.스텐트를 삽입하거나 풍선으로 확장시키는 방법으로, 혈관 내벽에 있는 혈전 덩어리를 밖으로 뽑아내는 혈전 제거술을 병행하기도 한다.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은 시술에 따른 위험도가 인공 심폐기 사용을 통한 개흉 수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조속히 심근경색을 치료할 수 있으며 전신 마취나 피부 절개가 필요하지 않아 회복 기간 및 입원 기간이...2025.03.15· 6페이지 -
A+ 소양감(가려움증)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간호과정/간호진단 6페이지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NANDA-I, 영역11: 안전/보호, 과2: 신체적 손상]NANDA간호진단■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 상태 (At risk for skin being adversely altered.)간호사정주관적 자료(1) “가려워 죽겠어요.”(2) “하도 긁어서 빨개진 것 좀 보세요.”(3) “바르는 약이든 먹는 약이든 뭐라도 ...2022.11.04· 6페이지 -
A+ 만성신부전 케이스/간호과정/간호진단 19페이지
만성신부전(CKD)간호과정 간호진단[A+]1. 신기능 저하와관련된 체액과다2. 신체적부동 및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3. 침습적처치와 관련된감염 위험성【간호과정: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NANDA간호진단■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 과다(Excess Fluid Volume): 등장성 체액 정체가 증가 된 상태.(Increased isotonic fluid retention.)간호사정주관적 자료(1) “선생님, 제 팔 다리가 계속 퉁퉁 붓는 느낌이 들어요. 왜 이런 걸까요?”(2) “소변이 잘 안 나오네요. 하루에 종이컵...2022.03.23· 19페이지 -
수두 환아_사례 없이 질병에 대한 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2개 (피부손상위험성/고체온/지식부족 ) 8페이지
목차Ⅰ. 서론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1p2. 문헌고찰 1~3pⅡ. 본론1. 간호과정 적용 3~6pⅢ. 참고문헌 7pⅠ. 서론1. 연구의 의의및 필요성수두는 소아기의 흔한 바이러스성 감염 중 하나로 급성 미열로 시작하여 전신의 가려움증, 발진성 수포를 나타내는 질환이다. 심한 소양감으로 식욕부진, 피부감염 등이 유발될 수 있다. 환자의 기도분비물과 수포액이 감염원으로 직접접촉, 비말 등으로 전파되어 가족, 어린이집 등의 집단 감염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두에 감염된 환아의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중요하다.수두에 관한 문...2020.12.04·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