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histamines 항히스타민제
문서 내 토픽
  • 1. 히스타민
    히스타민은 비만세포, 호염구, 임파구, 신경세포, gatric enterochromaffin-like cells 등의 많은 조직에서 발견되는 생체아민으로 국소적으로 분비되어 인근 세포들의 기능적 활성을 증사기키거나 억제하는 autocoid다. 히스타민은 폐, 혈관민무늬근, 혈관내피세포, 말초신경에서 H1 receptor에 작용한다. 폐에서 기관지 수축을 일으켜 천식증상을 나타내며, 혈관민무늬근에서 모세혈관후 세정맥 확장, 말단세동맥 확장, 정맥수축을 일으켜 피부발적을 나타낸다. 혈관내피세포의 수축과 분리를 일으켜 부종과 구진 반응을 나타내며 말초신경의 구심성 신경말단을 감작시켜 가려움증과 동통을 일으킨다. 히스타민은 심장, 위장에서는 H2 receptor에 작용하며, 심장수축과 심박수의 미세한 증가와 위산분비의 증가를 일으킨다. H3 receptor는 대뇌겉질, 바닥핵, 시상하부의 돌기유두핵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의 부분에 연접 전 신경세포에 주로 존재하며 히스타민이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한다.
  • 2.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는 비염, 결막염, 두드러기 및 가려움증 등의 알레르기 증상을 치료하는데 가장 유용하다. H1-항히스타민제는 부종 및 팽진 형성에 가장 필수적인 모세혈관 투과도 증가를 강력하게 봉쇄하며, 이로 인해 이들 약물은 알레르기 반응이 시작된 이후 보다는 시작 전에 예방적으로 사용될 때 효과가 뛰어나다. 대표적인 1세대 H1-항히스타민제로는 Dihenhydramine, hydroxyzine, chlorpheniramine, promethezaine 등이 있다. 1세대 H1-항히스타민제제는 생리적 pH상태에서 중성을 나타내며, 혈액-뇌장벽을 잘 통과하는데, 중추신경계에서 히스타민성 신경세포의 작용을 억제한다. 2세대 H1-항히스타민제제에는 loratadine, cetirizine, fexofenadine 등이 포함되며 생리적 pH에서 이온화되며 혈액-뇌장벽을 잘 통과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2세대 H1-항히스타민제는 낮은 중추신경계 투과도를 가져 졸음(중추신경계 억제효과)과 구강건조(항콜린성 효과)가 비교적 덜 나타나게 된다.
  • 3. H2 receptor antagonist
    Selective H2 receptor antagonist의 경우 히스타민에 의한 위산분비를 억제하며, 대표적으로 Cimetidine과 ratidine이 있다. 이들 약제들은 위벽세포의 H2 수용체에 결합하는 히스타민의 가역적, 상경적 길항제로 작용하여 위산분비를 감소시킨다. 임상 적응증은 위산역류질환 및 소화성궤양 질환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히스타민
    히스타민은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 물질입니다. 주로 알레르기 반응, 염증 반응, 위산 분비 등에 관여하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히스타민의 과도한 분비나 불균형은 알레르기 증상, 두드러기, 소화기 증상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히스타민의 작용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관리는 우리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경구 투여, 주사, 외용 등 다양한 투여 경로를 통해 사용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 개인차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 외에도 알레르기 증상 관리를 위해 생활 습관 개선, 원인 물질 회피 등 다양한 방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인 접근을 통해 알레르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3. H2 receptor antagonist
    H2 receptor antagonist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로, 주로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히스타민이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위산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H2 receptor antagonist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편이지만, 장기 사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식이 요법, 생활 습관 개선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H2 receptor antagonist는 위장 질환 관리에 있어 중요한 약물이지만, 개인차와 부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Antihistamines 항히스타민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6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