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의보감_외형편_한자독음+해석본
문서 내 토픽
-
1. 두머리는 천곡이며 신을 간직한다. 천곡은 조화를 머금고 허공을 담으며, 땅의 계곡은 만물을 담고 산천을 싣고 있다. 사람은 천지와 부여받은 것이 같아서 또한 계곡을 가지고 있다. 그 계곡에는 진일(眞一)이 간직되고 원신이 머무른다. 그래서 머리에는 구궁(九宮)이 있어 위로 구천(九天)과 상응한다. 그 중심에 있는 일궁(一宮)을 이환궁(泥丸宮)이라고 하는데, 또 황정(黃庭), 곤륜(崑崙), 천곡이라고도 한다. 그 부르는 이름은 많지만, 모두 원신(元神)이 머무는 집을 가리킨다. 계곡과 같은 공간에 신이 거처하기 때문에 곡신(谷神)이라 한다.
-
2. 두부도수두개골의 둘레는 2.6자이고, 이마의 전발제(前髮際)에서 목덜미의 후발제(後髮際)까지는 1.2자이며, 전발제에서 턱까지는 1자이다. 귀 뒤 완골(完骨) 사이의 너비는 9촌이고, 귀 앞 이문(耳門) 사이의 너비는 1.3자이다.
-
3. 두병외후풍두통에 담연을 토하지 않고 오래 두면 눈이 멀어서 치료하지 못하게 된다. 상한으로 머리가 무거워 제대로 들지 못하고, 음양역병에도 머리가 무거워 제대로 들지 못한다. 이것은 모두 위증(危證)이다. 상한으로 양맥이 불화(不和)하면 머리가 흔들리고, 심장의 기가 끊어져도 머리가 흔들리며, 치병(痓病)으로 풍사가 성하여도 머리가 흔들린다. 모두 좋지 않은 증상이다.
-
4. 두풍증두풍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입 문 평소 담음이 있던 사람이 머리를 감아서 빗거나 목욕한 후 찬 바람을 쐬어서 적풍(賊風)이 뇌와 목덜미로 들어가서 목 위로 이목구비와 미릉골이 마비되어 감각이 없는 곳이 생기거나, 또는 머리가 무겁거나 어지럽거나 두피(頭皮)가 뻣뻣해지는데 스스로 느끼지 못한다. 또는 입과 혀의 감각이 없어 음식 맛을 모른다. 또는 귀가 먹거나 눈이 아프거나, 미릉골 부위가 상하로 당기면서 아프다. 또는 코에서 향내를 맡으면 너무 향기롭게 느껴지고 악취를 맡으면 지나치게 심하게 느껴진다. 또는 단지 하품만 하여도 현훈이 생긴다. 열증이면 소풍산을 쓰고, 냉증(冷證)이면 추풍산을 쓰며, 천궁다조산처방은 뒤에 나온다ㆍ거풍통기산처방은 풍문에 나온다을 두루 쓴다.
-
5. 眩暈현훈에는 풍훈ㆍ열훈ㆍ담훈ㆍ기훈ㆍ허훈ㆍ습훈이 있다. 풍훈은 상풍으로 인해 생기고, 열훈은 화열이 치성해서 생기며, 담훈은 담이 성하고 기가 울체되어 생긴다. 기훈은 기가 허해져서 생기고, 허훈은 신이 허해져서 생기며, 습훈은 습사가 침범해서 생긴다. 각각의 치료법이 다르다.
-
6. 頭痛두통에는 정두통ㆍ편두통ㆍ풍한두통ㆍ습열두통ㆍ궐역두통ㆍ담궐두통ㆍ열궐두통ㆍ습궐두통ㆍ기궐두통ㆍ진두통ㆍ취후두통이 있다. 두통을 두루 치료할 때는 천궁다조산ㆍ일자경금산ㆍ여성병자ㆍ칠생환을 써야 한다.
-
7. 腦風證뇌풍의 증상은 목덜미와 등이 으실으실 춥고 뇌호혈이름 부위가 매우 차다. 신성산ㆍ태양단을 쓴다.
-
8. 首風證수풍은 막 머리를 감은 후 풍에 맞으면 생긴다. 증상은 머리와 얼굴에 땀이 많이 나고 바람을 싫어하며, 이전의 풍을 맞은 날이 되기 하루 전날에는 병이 심해져 머리가 아파서 드나들 수 없다가 바람이 부는 날에는 병이 약간 낫는다. 대천궁환을 주로 쓴다.
-
9. 眉稜骨痛미릉골의 통증이 눈까지 이어져 눈을 뜰 수 없고 낮에는 잠잠하다가 밤에 심해지거나, 습담으로 눈썹과 눈자위의 뼈가 아프고 몸이 무거울 때는 궁신도담탕처방은 앞에 나온다에 천오ㆍ백출을 넣어 써야 한다.
-
10. 頭痛不治難治證진두통은 두통이 심하고 뇌가 다 아픈 것이다. 손발이 차가워지는데, 그 차가움이 관절까지 이르면 치료하지 못하고 죽는다. 눈이 멀어 아무것도 보이지 않으면 죽는다. 설사를 많이 하면서 현훈이 있고 가끔 저절로 눈이 어지러우면 치료하기 어렵다.
-
11. 風頭旋풍두선이라는 것은 별 다른 통증도 없고 저도 모르게 항상 머리를 흔드는 것이다. 간풍이 왕성하면 머리를 흔든다. 치료법은 두풍과 같다.
-
1. 두두(頭)는 인체의 가장 중요한 부위로, 우리 몸의 중심이자 지성과 감성의 근원이 되는 곳입니다. 두부는 뇌와 감각기관들이 모여 있어 인체의 중추적 역할을 하며, 건강한 두부는 전신의 건강을 좌우합니다. 따라서 두부의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두부와 관련된 다양한 증상들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2. 두부도수두부도수는 두부와 경추 부위의 구조적, 기능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법입니다. 두부도수 치료는 두부와 경추의 정렬을 바로잡고 관절 가동범위를 개선하여 두통, 어깨 통증, 현기증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안전하게 시행된다면 두부와 경추 관련 질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부적절한 시술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두병외후두병외후(頭病外候)는 두부와 관련된 다양한 증상들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두통, 현기증, 두중감, 두부 압박감 등의 증상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법을 제시합니다. 두병외후 증상의 치료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4. 두풍증두풍증(頭風證)은 한의학에서 두부와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두통, 현훈, 두중감, 두부 압박감 등의 증상이 특징적이며, 이는 풍(風)의 병리적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두풍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한의학적 치료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풍(風)의 병리를 조절하고 두부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5. 眩暈현훈(眩暈)은 두부와 관련된 대표적인 증상으로, 어지러움, 균형감 저하,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현훈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중추신경계, 전정기관, 혈관 등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함께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현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6. 頭痛두통은 매우 흔한 증상으로, 그 원인과 양상이 매우 다양합니다.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발두통 등 다양한 유형의 두통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치료법이 다릅니다. 한의학에서는 두통의 원인을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두통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두통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법을 고려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7. 腦風證뇌풍증(腦風證)은 한의학에서 뇌졸중과 관련된 증상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갑작스러운 마비, 언어장애,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특징적이며, 이는 풍(風)의 병리적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뇌풍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한의학적 치료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풍(風)의 병리를 조절하고 뇌졸중 관련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8. 首風證수풍증(首風證)은 한의학에서 목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목 경직, 통증, 경련 등의 증상이 특징적이며, 이는 풍(風)의 병리적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수풍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한의학적 치료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풍(風)의 병리를 조절하고 목 관련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9. 眉稜骨痛미릉골통(眉稜骨痛)은 눈썹 부위의 통증을 의미하는 한의학적 개념입니다. 이는 두부와 안면 부위의 근육, 신경, 혈관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릉골통의 치료를 위해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한의학적 치료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통증의 원인을 해결하고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10. 頭痛不治難治證두통불치난치증(頭痛不治難治證)은 한의학에서 치료가 어려운 두통 증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두통의 원인이 복잡하고 다양하여 단순한 치료로는 효과를 보기 어려운 경우를 말합니다. 두통불치난치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한의학적 치료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두통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고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
11. 風頭旋풍두선(風頭旋)은 한의학에서 두부와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두통, 현훈, 두중감, 두부 압박감 등의 증상이 특징적이며, 이는 풍(風)의 병리적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풍두선의 치료를 위해서는 체질, 장부 기능, 기혈 순환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한의학적 치료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침, 뜸, 한약 등의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풍(風)의 병리를 조절하고 두부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동의보감_외형편_한자독음+해석본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