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대금의 결제방식 중 추심과 송금 신용장에 대한 설명
문서 내 토픽
  • 1. 송금결제방식
    송금결제(remittance payment) 방식이란 수입상이 물품을 받기 전 또는 받은 후에 대금의 전액을 송금하거나 수출상이 물품 또는 서류를 인도할 때 수입상이 대금을 송금하여 결제하는 방식을 말한다. 송금결제방식에는 사전송금방식, 동시송금방식 및 사후송금방식이 있다.
  • 2. 추심결제방식
    추심결제(collection) 방식이란 신용장을 통한 은행의 수출상에 대한 대금지급확약이 없이 수출자가 계약조건에 따라 약정품을 선적하고 이에 따라 발급되는 운송서류를 첨부한 환어음을 발행하여 자신의 거래은행에 추심을 의뢰하면, 거래은행은 수입상의 거래은행(추심은행 : collecting bank)에 추심을 의뢰하여 운송서류와 상환으로 수입상의 대금을 결제하는 방법이다.
  • 3. 신용장결제방식
    신용장(letter of credit : L/C)이란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서류를 신용장조건과 일치하게 준비하여 제시하면 수입상을 대신하여 수입상의 거래은행인 신용장 발행은행이 지급의 이행 또는 신용장에 의하여 발행된 어음의 지급, 인수 혹은 매입을 수출상에게 확약하는 증서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송금결제방식
    송금결제방식은 거래 당사자 간 직접 계좌이체를 통해 대금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거래 당사자 간 신뢰가 전제되어야 하며, 거래 상대방의 신용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거래 시 실시간 결제가 가능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거래 상대방의 신용도가 낮거나 거래 내역 확인이 어려운 경우 리스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송금결제방식은 거래 당사자 간 신뢰도가 높고 거래 내역 확인이 용이한 경우에 적합한 결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추심결제방식
    추심결제방식은 매도인이 매수인의 은행에 대금 청구서를 제출하면 매수인의 은행이 매수인의 계좌에서 대금을 인출하여 매도인에게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매도인의 입장에서 대금 회수가 보장되는 장점이 있지만, 매수인의 입장에서는 대금 지불 시기를 통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추심 과정에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어 비용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심결제방식은 매도인의 신용도가 낮거나 거래 상대방과의 신뢰도가 낮은 경우에 적합한 결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신용장결제방식
    신용장결제방식은 매도인이 매수인의 은행에 신용장을 개설하고, 매도인이 신용장 조건을 충족하면 매수인의 은행이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거래 당사자 간 신뢰도가 낮은 경우에도 안전한 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신용장 개설 과정에서 거래 내역이 투명하게 관리되어 분쟁 발생 시 해결이 용이합니다. 다만 신용장 개설 및 관리에 따른 수수료가 발생하여 비용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용장결제방식은 거래 당사자 간 신뢰도가 낮고 거래 규모가 큰 경우에 적합한 결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역대금의 결제방식 중에서 추심과 송금 신용장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10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