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거시경제론(중간)_1. 교재의 표 9-2에서 투자지출이 기존의 10조원에서 0원으로 10조원만큼 감소하는 경우, 표가 어떻게 변하는지 새로운 표를 작성하여 나타내시오. 이 때 균형 GDP와 승수는 얼마인가 2. 다음 보기의 요인들에 따라 경제의 단기 균형과 장기 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총수요, 총공급 모형을 통해 그림을 이용
문서 내 토픽
  • 1. 투자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와 승수 변화
    교재의 <표 9-2>에서 투자지출이 기존의 10조원에서 0원으로 10조원만큼 감소하는 경우, 새로운 표를 작성하여 나타내면 균형 GDP는 기존 125조원, 140조원에서 각각 115조원, 130조원으로 10조원씩 감소하게 된다. 승수는 한계소비성향이 0.75이므로 1÷(1-0.75) = 4배로 증가한다.
  • 2. 대규모 감세정책에 따른 단기 및 장기 균형 변화
    대규모 감세정책으로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곡선이 AD1에서 AD2로 이동하여 단기적으로 총소득과 물가가 상승한다. 장기적으로는 완전고용이 되지 않아 명목임금이 상승하면서 공급곡선이 AS1에서 AS2로 이동하여 물가가 더 상승하고 총소득은 초기 수준으로 돌아간다.
  • 3. 투자 기대수익률 하락에 따른 단기 및 장기 균형 변화
    투자의 기대수익률 하락으로 수요곡선이 AD1에서 AD2로 이동하면 단기적으로 총소득과 물가가 하락한다. 장기적으로는 완전고용이 되지 않아 명목임금이 하락하면서 공급곡선이 AS1에서 AS2로 이동하여 물가가 더 하락하고 총소득은 초기 수준으로 돌아간다.
  • 4. 정부지출 변화를 통한 균형 GDP 300조원 증가
    한계소비성향이 0.75인 경제에서 균형 GDP를 300조원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지출을 75조원 증가시켜야 한다. 조세만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조세를 100조원 감면시켜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대규모 감세정책에 따른 단기 및 장기 균형 변화
    대규모 감세정책은 단기적으로 가처분소득 증가를 통해 소비 증가를 유발하여 총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균형 GDP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정부 재정수지 악화와 국가채무 증가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부 재정수지 악화는 향후 정부지출 감소나 세율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총수요 감소로 이어져 균형 GDP 하락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채무 증가는 장기적으로 금리 상승을 유발하여 투자 감소와 소비 위축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균형 GDP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규모 감세정책은 단기적으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정부지출 변화를 통한 균형 GDP 300조원 증가
    정부지출 증가를 통한 균형 GDP 300조원 증가는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지출 증가는 직접적으로 총수요를 증가시켜 균형 GDP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지출 증가는 승수효과를 통해 균형 GDP 변화를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정부지출 증가로 인한 소득 증가는 다시 소비 증가로 이어져 총수요를 더 늘리는 승수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정부 재정수지 악화와 국가채무 증가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향후 정부지출 감소나 세율 인상으로 이어져 총수요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채무 증가는 금리 상승을 유발하여 투자 감소와 소비 위축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지출 증가를 통한 균형 GDP 300조원 증가는 단기적으로는 실현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초거시경제론(중간)_1. 교재의 표 9-2에서 투자지출이 기존의 10조원에서 0원으로 10조원만큼 감소하는 경우, 표가 어떻게 변하는지 새로운 표를 작성하여 나타내시오. 이 때 균형 GDP와 승수는 얼마인가 2. 다음 보기의 요인들에 따라 경제의 단기 균형과 장기 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총수요, 총공급 모형을 통해 그림을 이용 (5)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6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