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사람들 영화감상문(줄거리, 방어기제 6개, 의사소통 5개, 느낀점)
문서 내 토픽
  • 1. 영화 '보통사람들'의 줄거리
    영화 '보통사람들'의 주인공인 콘래드가 형과 함께 보트를 타다 형이 사망하는 사건이 있고 자살 시도를 했으며, 그로 인해 정신과 치료를 받았습니다. 치료 후 퇴원했지만 좀처럼 나아지지 않았고 아버지의 권유로 닥터버그를 만납니다. 닥터버그와 이야기를 시작하고 처음에는 대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조금씩 대화가 통하기 시작합니다. 콘래드가 수영을 그만 두고, 여자친구를 사귀고, 부모님과의 트러블이 생기는 등 일이 일어납니다. 닥터버그를 만나본 콘래드의 아버지는 콘래드가 더 나아지기 위해 아내와 대화를 시도하지만 아내는 원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콘래드의 어머니와 아버지는 친구가 있는 나라로 여행을 가고 그 와중에 콘래그는 친구가 자살했다는 소식을 듣게 되며 굉장히 괴로워합니다. 친구의 자살을 닥터버그와 이야기하면서 콘래그는 부모님에 대해 대화를 시도하고, 스킨쉽을 시도하는 등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며 노력합니다. 그러나 콘래그의 부모님의 갈등으로 어머니는 잠시 집을 나갑니다. 이 일로 콘래그와 아버지는 많은 대화를 하며 영화가 끝이 납니다.
  • 2. 영화에서 나타난 방어기제
    전치- 자신이 학교에서 있었던 일이나 부모님과 있었던 일을 닥터버그에게 이야기하며 화를 내고 욕을 하는 등의 모습을 보임. 합리화- 수영을 그만 두면서 자신이 기록이 안좋다는 등의 핑계를 대고 수영부 친구들과 이야기하면서 왜 그만 뒀냐고 묻자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지 말라는 등 화를 냄. 행동화- 부모님, 조부모님과 사진을 찍으며 어머니께서 자신과 함께 찍기 싫어하는 모습을 보이자 콘래그는 화를 내며 사진을 안찍는 모습을 보입니다. 행동화- 수영부원이 자신에게 빈정대며 조롱하자 폭력을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부정- 닥터버그가 왜 자신을 찾아왔냐고 묻자 그냥 자기조절을 하고싶어서라고 대답함. 상환- 콘래그의 아버지는 자신의 무의식에 있는 콘래그의 정신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정신 병원 치료, 상담을 계속 권유함.
  • 3. 영화에서 나타난 치료적 의사소통
    경청- 닥터버그는 콘래그와 상담할 때마다 눈높이를 맞추어 대답하고 콘래그가 다른 말을 하더라도 회피하지 않고 대답해줌. 반복- 닥터버그는 콘래그가 부정적인 대답을 했을 때 반복하며 되물어 콘래그의 생각을 이끌었다. 개방형 질문- 닥터버그는 콘래그에게 무슨 일이 있는거냐, 무슨 생각을 하냐등 개방형 질문을 통해 콘래그의 생각을 이끌어 냄. 공감- 콘래그가 닥터버그에게 꿈을 믿냐 질문하니 자신의 생각을 말하며 공감해주고 콘래그에게 역으로 질문하여 생각을 이끌어냈다.
  • 4. 영화에서 나타난 비치료적 의사소통
    엄밀히 조사하기- 콘래그는 대답을 원치 않았지만 닥터버그가 계속적으로 질문하여 콘래그가 화를 내며 닥터버그가 질문에서 의도한 답은 하지 않고 다른 말만 함.
  • 5. 영화 감상 후 느낀점
    이 영화를 보면서 방어기제와 치료적, 비치료적 의사소통에 관심을 갖고 보니 정말 주인공이 어떤 방어기제를 보이고 있는지, 의사는 어떤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지 눈에 들어왔다. 그러면서 평소 생활을 하면서 나와 주변사람들에게서 보였던 특징도 있었다. 콘래그와 부모님이 대화하는 장면을 보고 있으면 왜 콘래그가 저러는 지 알 수 있었다. 형이 죽은 사건은 콘래그에게도 큰 트라우마를 주는 사건인데 다독여주기보다는 형 이야기를 회피하거나 전문가에게만 보내려고 하는 등의 모습을 보고 충분한 대화를 하는, 진지한 대화를 하는 가족이었다면 콘래그가 달랐을까 하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그리고 닥터버그의 대화법이 콘래그의 화를 돋우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경청을 하거나 공감을 할 때에는 매우 잘 일어나지만 자꾸 질문하는 등 감정을 억누르기 보다는 폭발시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보면서 나를 비롯한 주변사람들에게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주제라 그런가 더 관심 있게 봤고 정말 부모님의 역할이 크고 대화는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전문가가 대상자에게만 국한하여 치료를 진행하지 않고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의 대화에서 무슨 문제가 있는지 등등을 확인하여 치료를 진행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영화에서 나타난 방어기제
    영화 '보통사람들'에서는 다양한 방어기제가 나타납니다. 콘은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고 회피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제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그의 부모인 베르나드와 캐롤도 각자의 방식으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데, 베르나드는 합리화와 투사를 통해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 하고, 캐롤은 부인과 억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려 합니다. 이처럼 영화 속 인물들은 자신의 내면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 주제4: 영화에서 나타난 비치료적 의사소통
    영화 '보통사람들'에서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비치료적 의사소통도 나타납니다. 특히 콘과 그의 부모 사이의 대화에서 이를 볼 수 있습니다. 베르나드와 캐롤은 콘의 감정을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자신들의 관점과 기대에 맞추려 합니다. 이로 인해 콘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워하며, 가족 간의 갈등이 심화됩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들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비난과 비판을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처럼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비치료적 의사소통은 인물들의 내적 성장과 관계 회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보통사람들 영화감상문(줄거리, 방어기제 6개, 의사소통 5개, 느낀점)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