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재 토공설계를 수행하는 대부분의 설계회사에서는 LH공사의 단지설계시스템(DAS)에서 지형입력자료로 활용하고 있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하고 있다. DAS의 경우 dxf 포맷의 수치지도를 사용하므로 기존의 토공량 산출방식은 2차원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복잡한 지형의 경우, 경계의 변곡점을 고려하지 않고 등간격의 심프슨법칙을 단순히 적용하거나 지형경계식을 단순히 선형, 비선형으로만 가정하는 면적 및 체적의 계산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최근에 와서 실제의 지형과 부합되는 지형의 굴곡...
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