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위궤양 천공에 따른 위 절제술2024.09.211. 위장관 질환 1.1. 구조와 기능 1.1.1. 구강 구강은 구강점막, 입술, 연구개와 경구개, 혀, 치아와 침샘들로 이루어져 있다. 구강은 음식물을 섭취하고 소화를 시작하는 통로이다. 구강 점막은 일반적으로 점막하 조직에 의해 지지되며, 혈액 공급은 주로 안면 동맥과 정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입술은 구강을 둘러싸는 두 개의 근육성 주름으로, 감각 신경 분포가 풍부하여 촉각과 온도감각을 느낄 수 있다. 연구개는 연조직이며, 구개의 후방 2/3를 이루고 있다. 경구개는 단단한 뼈로 구성된 전방 1/3의 구개를 말한다. 혀는 구...2024.09.21
-
종양지표2024.09.09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 1.1. 구강 구강(Oral cavity)은 음식물을 섭취하는 통로이다. 구강(Oral cavity) 안의 구조로는 미각수용체, 28개의 치아와 2개의 사랑니, 구강상부의 연구개(soft palate)와 경구개(hard palate), 구강바닥에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sublingual gland), 악하선(submandibular gland), 이하선(parotid gland)이 있다. 침(타액)은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으로 하루 1,000~1,500ml가 분비되며, pH...2024.09.09
-
의식하진정내시경 간호진단2025.03.151. 서론 위장관계는 입에서 항문까지 이어지는 복잡한 구조이다. 위장관계의 주요 기능은 섭취, 소화, 흡수 및 배설이며, 여러 가지 복잡한 생리학적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십이지장은 위의 유문부에서 시작하여 공장으로 이어지는 첫 번째 부분으로, 다양한 구조와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십이지장 용종은 양성 또는 악성 종양이 점막 위로 돌출된 병변을 뜻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십이지장 용종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다. 십이지장 용종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내시경 검...2025.03.15
-
하부위장출혈 케이스2025.04.071. 서론 하부 위장관 출혈은 빈창자, 돌창자, 잘룩창자, 곧창자에서 발생하는 출혈로, 십이지장과 횡경막을 잇는 트레이츠 인대 아래의 위장관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하부 위장관 출혈은 전체 위장관 출혈의 약 20%를 차지하며, 급성 하부 위장관 출혈은 최근 3일 이내에 발생한 출혈로 빈혈, 생명징후의 불안정, 수혈 가능성이 만성 하부 위장관 출혈에 비해 높다. 하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으로는 폴립절제술 후 출혈, 종양성질환, 염증성질환, 혈관성질환, 게실출혈, 치핵 등이 있다. 하부 위장관 출혈 환자는 주로 혈변, 어지러움,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