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개
-
응급 간호호흡곤란 간호진단2025.03.171. 문헌고찰 1.1. 호흡곤란 호흡곤란은 주관적으로 숨쉬기가 불편한 상태이다. 이 상태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일반 인구의 약 9-13%가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70세 이상 환자에서는 37%까지 그 증상을 호소한다. 호흡곤란은 응급실에 방문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기좌호흡은 누우면 심해지는 호흡곤란으로, 심부전, 기관지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에서 나타난다. 편평호흡은 일어나 앉으면 더 심하고 누우면 편해지는 호흡곤란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나 폐 절제술 후, 간폐증후군...2025.03.17
-
중환자실 장비2024.10.031. 환자 감시 장치 1.1. 목적 및 대상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의 목적 및 대상은 다음과 같다. 환자감시장치의 목적은 심전도, 혈압, 산소포화도 등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감시장치의 대상은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환자, 상태 변화 측정이 필요한 의학적 조치를 받는 환자이다. 특히 상태가 불안정한 환자가 있는 중환자실에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2024.10.03
-
통합실습 COPD 시나리오2024.10.301. 통합시뮬레이션 COPD 환자 간호 1.1. 환자 사정 및 모니터링 1.1.1. 환자 상태 사정 환자 상태 사정은 COPD 환자를 간호함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단계이다. 환자의 주증상인 호흡곤란, 기침, 가래 등의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사정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호흡곤란의 정도는 휴식 시와 활동 시로 구분하여 사정해야 하며, 특히 활동 시 호흡곤란의 정도가 더 중요하다. 이를 위해 환자에게 "휴식할 때와 움직일 때 숨쉬기가 어려우신가요?", "평소에 일상생활을 하...2024.10.30
-
기도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2024.12.141. 기도분비물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1.1. 대상자 사정 1.1.1. 현병력 및 과거력 대상자는 70세 남성으로 10년 전 고혈압(HTN), 6년 전 1형 당뇨병(DM)을 진단받았다. 최근 2019년 6월 13일 11시경 가래와 객혈 증상이 발생하여 집에서 지켜보던 중 10차례 객혈이 지속되어 7월 2일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응급실 방문 당시 청색증과 호흡곤란, 객혈 등의 증상이 있었으며 폐렴 의심 하에 기관동맥색전술(BAE)을 시행하였다. BAE 시행 후에도 객혈은 지속되었으나 고열이나 호흡곤란은 없었다. 과거력상...2024.12.14
-
AOP 간호과정2024.10.0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숙아 무호흡(apnea of prematurity, AOP)은 주기성 호흡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20초 이상 자발적인 호흡이 없는 상태이며 맥박이 느려지거나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청색증을 동반한다. 미숙아에게 흔한 증상으로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빈도가 증가한다. 재태기간 32주 이하 미숙아의 1/3, 30주 이하의 대부분에서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는 AOP는 미숙아에게 주로 호발하므로 본 사례연구를 통해 NICU에서 실습하는 동안 AOP의 치료 및 간호, 합병증, 예방 등에 대해 ...2024.10.09
-
아동 급성호흡부전2024.11.131. 아동간호 사례 연구 1.1. 간호사정 1.1.1. 일반적 사항 환아 정00은 9세 남아로, 주 진단명은 Acute respiratory failure입니다.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환아의 성별은 남자이며, 연령은 9세입니다. 입원일은 2020년 1월 22일이며, 정보제공자는 기타(시설)입니다. 출생력에 특이사항은 없으며, 과거질환으로 2011년에 cerebral palsy, epilepsy, acute bronchitis를 앓았습니다. 일반적 건강상태는 활동이 곤란한 편이며, 알레르기는 약물로 triax...2024.11.13
-
복수 관련 비효율적 호흡양상 관리법2024.11.121. 간호과정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배가 너무 커져서 숨쉬기가 힘들어요.", "아이고, 숨차다.", "자꾸 배에 물이 차요."라고 호소하며 주관적으로 복부팽만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에 따르면, 대상자의 Dx(진단)은 Liver cirrhosis(간경변증)이며, 부종과 복부팽만이 관찰되었고 복부 타진 시 탁음이 들렸다"" 대상자의 복부 둘레(AC, Abdominal Circumference)는 96.5cm였으며, Abdomen Supine/Erect & A...2024.11.12
-
성인간호학 급성 기관지염2024.10.09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급성기관지염은 기관지에 생긴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어린이나 노인에서 가장 빈발하며 겨울과 환절기에 발생률이 높다. 기관지염의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심하면 폐렴으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초기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응급실 실습을 하며 급성기관지염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는 매일 있었고, 대부분이 노인환자였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아동에게 호발하고,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그들에게 치명적인 합병증을 가져올 수 있는 선행질병이 될 수 있어 이 질병을 연...2024.10.09
-
노인간호학 실습사지마비2024.09.021. 노인간호에 대한 이해 1.1. 체위변경 체위변경은 압력을 분산하여 욕창을 예방하고 괴사를 방지하며, 호흡기능이 원활해지고 폐확장이 촉진되며, 관절의 움직임을 돕고 변형을 방지하며, 혈액순환을 돕고 부종과 혈전을 예방하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2시간 간격으로 체위를 변경하고, 욕창이 이미 발생한 경우는 더 자주 변경해야 한다. 체위 변경 시 똑바로 누운 자세 - 좌측 측위 - 똑바로 누운 자세 - 우측 측위의 순서로 시행하며, 수급자의 의사를 가능한 묻고 협조 하에 실시한다. 또한 공급자의 허리 높이로 침대를 ...2024.09.02
-
자가호흡 호흡양상2024.11.071. 간호진단 및 계획 1.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은 폐내 분비물의 증가로 인해 효율적인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저산소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 환자는 주관적으로 "숨쉬기가 힘들어서 불안해요"라고 호소하였으며, 객관적으로 흉부 압박감, 호흡곤란, 청색증, 창백한 피부색, 발한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호흡수 32회/분, 맥박수 130회/분 등의 활력징후 변화와 흡기성 천명음, 악설음 등의 호흡음 변화가 나타났다.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