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
-
인체구조와기능 문제2024.10.201. 인체 구조와 기능 1.1. 심장혈관계통 1.1.1. 혈관 혈관은 심장과 더불어 순환계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혈관은 체내에서 혈액을 운반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크기와 기능에 따라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구분된다. 동맥은 전체 순환계에서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각 신체 기관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동맥에는 대동맥, 폐동맥, 대뇌동맥 등이 있으며, 이들은 원심성 혈액 운반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동맥의 벽은 강한 근육층을 가지고 있어 혈압의 변화에도 견딜 수 있다. 정맥은 각 신체 기관에서 혈액을 심장으로...2024.10.20
-
혈류속도2024.10.281. 혈액순환과 순환계질환 1.1.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 총단면적은 혈관의 전체적인 단면적을 의미하며, 대동맥이나 대정맥과 같이 큰 혈관은 단면적이 크지만 혈관이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총단면적은 크지 않다. 반면 모세혈관의 경우 단면적이 매우 작지만 무수히 많은 모세혈관이 연결되어 있어 총단면적이 가장 크다. 이렇게 혈관 크기별로 총단면적이 다른 이유는 혈액을 전신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는 반비례하는 관계를 가진다. 즉, 총단면적이 큰 곳에서는 혈류 속도가 느리고, 총단면적이 작은 곳에서는 혈류...2024.10.28
-
혈관 구조와 혈류의 관계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2024.09.111. 심혈관계의 해부생리학적 특성 1.1. 심장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 펌프 역할을 한다. 심장은 끊임없이 수축하고 이완하는 박동을 하여 혈액이 온몸을 잘 돌 수 있도록 한다. 심장은 몸 중간에서 살짝 왼쪽에 치우쳐진 곳에 위치해있다. 심장의 왼쪽에는 좌심방과 좌심실, 오른쪽에는 우심방과 우심실이 위치해있다. 심방과 심실에는 모두 혈액이 존재한다. 심방이 하는 일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우리는 심장에서 온몸으로 곳곳에 피를 보내주고 나면 그 피가 다시 심장으로 들어와서 다시 나가는 것이 반복해서 일어난다. 혈액을 내보...2024.09.11
-
혈류의 속도2024.09.111. 혈액순환과 순환계 1.1. 순환계의 구성 1.1.1. 심장 심장은 순환계의 펌프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우심실과 좌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우심실은 폐순환을 담당하며, 좌심실은 체순환을 담당한다. 심장은 혈액을 박출하는 기능을 통해 신체의 각 기관에 혈액을 공급하여 세포 대사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전달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좌심실은 대동맥으로 혈액을 강력하게 내보내는데, 이때 대동맥 벽의 탄력성이 혈압 변화를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심장은 체순환과 폐순환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기관이...2024.09.11
-
혈류속도2024.09.191. 혈액순환과 순환계질환 1.1.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 단면적이란 혈관을 잘랐을 때 단면의 면적을 의미한다. 혈관이 굵을수록 단면적이 크다. 대동맥이나 대정맥은 굵기 때문에 단면적이 크지만, 모세혈관은 단면적이 가장 작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총' 단면적이다. 총단면적은 모세혈관이 가장 크다. 이는 모세혈관이 육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가느다랗지만, 엄청나게 많이 가지쳐 있기 때문이다. 대동맥에서 가지쳐서 온몸 곳곳으로 퍼져나간 모세혈관의 단면적을 모두 합치면 그 총면적이 가장 크다. 총단면적과 혈류 속도는 반비례한다....2024.09.19
-
성인간호학 염증2024.10.111. 염증반응 1.1. 혈관반응 조직이 손상을 입으면 초기에는 혈관이 일시적으로 수축되지만, 곧이어 히스타민 종류의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이 확장된다. 세동맥에서 시작하여 모세혈관과 세정맥으로 이루어진 미세혈관망이 확장되어 혈류량이 증가한다. 혈관확장으로 혈행이 증가하면 손상부위의 피부가 붉어지고 충혈되어 염증의 주 증상인 열감과 발적이 나타난다. 모세혈관투과성의 증가로 처음에는 장액성 액체, 그 다음에는 혈장단백질이 손상부위로 모여들면서 삼출액이 형성된다. 국소부위의 모세혈관투과성이 증가되는 기전은 아직 분명하지 않으나 세포가 손...2024.10.11
-
인체생리학2024.11.291. 순환계 1.1. 정의 순환계는 동물 체내에서 혈액이나 림프액을 만들고, 필요한 영양물질이나 산소를 각 기관으로 조직에 수송하며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은 폐와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출하는 체계이다. 순환계는 인체 내 영양분 전달과 노폐물 발생시 노폐물을 운반시키는 역할을 하는 체계이다. 또한 호흡 시에 발생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순환계는 호르몬 작용 조절 물질 이동에도 관여하며 체온조절의 작용도 가지고 있다. 또한 순환계는 동물계 생명체의 생성 시 최초 형성 기관으로 운반 작용 외에도 혈액,...2024.11.29
-
출혈 응급처치2024.11.251. 출혈의 정의 및 종류와 응급처치 1.1. 출혈의 정의 출혈은 "혈관의 손상으로 혈액이 혈관 밖으로 나오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출혈이 일어나면, 혈소판과 혈액응고인자의 작용으로 혈전이 생성되어 손상된 혈관과 조직을 막음으로써 지혈이 된다. 그러나 혈소판과 혈액응고인자에 이상이 생기면 쉽게 멍이 들거나, 작은 상처에도 출혈이 잘 일어나고 잘 멈추지 않는다. 1.2. 출혈의 종류 1.2.1. 내부 출혈 내부 출혈은 출혈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혈액이 표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고 신체 내부의 체강(흉강과 복강)이나...2024.11.25
-
성인간호학문제 혈관계 건강문제와 간호2024.11.171. 혈관계 구조와 기능 1.1. 대동맥, 동맥, 세동맥 대동맥은 체순환계의 핵심으로, 심장에서 나와 신체 전체로 혈액을 공급하는 가장 큰 혈관이다. 대동맥은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하행 대동맥으로 구분되며, 체내 다양한 장기와 조직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동맥은 대동맥에서 분지되어 전신을 순환하는 혈관으로, 주요 동맥에는 총경동맥, 쇄골하동맥, 액와동맥, 대퇴동맥, 슬와동맥 등이 있다. 동맥은 혈액을 장기와 조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세동맥은 동맥이 점차 가늘어져 모세혈관으로 연결되는 부분의 혈관으로, 체내 ...2024.11.17
-
문맥순환2024.12.111. 혈액순환계 1.1. 대순환계 1.1.1. 체순환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 수축에 의해 좌심실을 나오는 혈액이 대동맥과 동맥을 지나 온몸의 조직과 기관에 있는 모세혈관에 이르러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흡수하여 정맥혈이 되어 정맥과 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이다. 즉, 좌심실→ 대동맥→ 전신의 머리와 가슴 팔의 세동맥→ 위대.아래대정맥→ 우심방까지의 경로를 거치는 혈액순환이다. 체순환은 심장의 좌심실이 수축하면서 시작된다. 좌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대동맥을 거쳐 전신으로 흘러나간다. 대동맥은...202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