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염증성 질환2024.09.291. 신장과 요로계 장애 1.1. 주관적 자료 1.1.1. 배뇨양상의 변화 배뇨양상의 변화는 신장과 요로계 장애를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대상자와의 면담 시 하루에 몇 번 배뇨하는지, 배뇨를 시작하거나 멈추는데 문제가 있는지, 밤에 일어나 몇 번이나 배뇨를 하는지, 증상이 시작된 시기 등을 질문하여 파악해야 한다. 혈뇨, 농뇨, 다뇨, 핍뇨, 무뇨, 배뇨곤란, 긴박뇨, 배뇨통, 배뇨 시 작열감, 빈뇨, 지연뇨, 실금, 야뇨증 등의 증상을 사정한다. 혈뇨는 붉은색 또는 혼탁한 소변, 농뇨는 소변의 혼탁, 다뇨는 24...2024.09.29
-
중환자실 말기콩팥병2025.03.191. 서론 만성 콩팥기능상실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신장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질병 상태이다. 만성 콩팥기능상실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는 신장 기능이 정상이지만 소변 검사의 이상이나 신장 요로계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있는 경우이고, 2단계는 신장 기능이 약간 감소된 상태이다. 3단계는 신장 기능이 중등도로 감소된 상태이며, 4단계는 신장 기능이 심하게 감소된 상태이다. 5단계는 신장 기능이 15미만으로 투석 혹은 이식이 필요한 말기 신부전 상태이다. 신부전은 신장의 기...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