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1개
-
급성 담낭염으로 응급실 내원한 환자에게 할 수 있는 간호사의 교육2024.09.021.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1.1. 정의 및 병태생리 1.1.1. 담낭의 구조와 기능 담낭은 7~10cm 정도 서양배 모양의 기관으로 간 오른엽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담낭은 한 번에 20~60 mL 정도의 담즙을 보유하며, 최대 보유량은 100~150mL이고 하루에 약 900mL의 담즙을 배출한다. 담낭은 담즙을 농축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담낭관으로 배출하여 총담관을 통과하여 십이지장으로 흐르게 한다. 담낭의 주요 기능은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것이다. 간에서 분비된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었다가...2024.09.02
-
약물처방사례보고서2024.10.201. 약물처방 사례보고서 1.1. 약물 정보 1.1.1. 페니라민정 페니라민정은 위장관, 혈관, 호흡기계에 있는 H1-수용체에 히스타민과 경쟁적으로 길항하여 두드러기, 비염 등의 알레르기 증상 및 코감기에 의한 재채기, 콧물, 기침 등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이다. 페니라민정은 주로 소아 및 성인에게 처방된다. 소아의 경우 1회 2mg, 1일 4~6회, 최대용량 1일 12mg으로 투여한다. 성인(12세 이상)의 경우 1회 2~6mg, 1일 2~4회, 최대용량 1일 24mg으로 투여한다. 65세 이상 고령자에게...2024.10.20
-
총담관폐쇄 케이스2024.11.211. 총담관 결석 1.1. 개요 1.1.1. 정의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내 담관과 담낭에서 이어지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으로 십이지장까지 연결된다. 총담관 결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즉, 총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담낭을 거쳐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통로로, 이 통로에 담석이 생기는 질환을 총담관 결석증이라고 한다. 1.1.2. 원인 총담관 결석의 원인은 크게 일차성 담관 결석과 이차성 담관 결석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성 담관 결석은 담낭의 담석...2024.11.21
-
담낭염2024.09.251. 담낭염 (Cholecystitis) 1.1. 정의 담낭염(cholecystitis)은 담낭벽의 염증을 말한다.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혹은 담낭의 기능 이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담낭관이나 통로 등이 좁아지는 것)이 발생하여 혈류나 담관을 통해 장내 세균이 담즙 내에서 증식하면서 담낭(쓸개)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급성 담낭염이라고 한다. 담석이 지속적으로 담낭 벽을 자극할 때는 만성 담낭염이 생길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이 반복되어 만성 담낭염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지만, 만성 담낭염 환자의 대부...2024.09.25
-
담석증 케이스 a2024.09.161. 서론 담석증이란 담즙이 비정상적으로 응결되어 생긴 결정체의 구조로서 생성 원인에 따라 크게 콜레스테롤 담석 및 혼합석, 그리고 색소 담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담석의 위치에 따라 간내 담도, 간외 담도 및 담낭 결석으로도 분류할 수 있다. 가장 흔한 담낭 담석은 담즙이 돌과 같이 딱딱하게 되는 것이다. 담즙은 간에서 만들어져서 담낭과 담도를 거쳐 장으로 배출 되는데, 체내에서 지방을 소화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담즙은 물, 콜레스테롤, 지방, 담즙산, 그리고 빌리루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콜레스테롤...2024.09.16
-
소화기계 해부생리2024.09.181. 소화기계의 해부와 기능 1.1. 소화기계의 구조 1.1.1. 소화관의 구성 소화관은 구강에서 항문에 이르는 약 9m의 관으로,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층, 장막층의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막층은 상피세포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효소와 점액을 분비하는 선을 가지고 있다. 점막하조직은 소화관 벽을 지지하고 혈관, 림프관, 신경을 포함하고 있다. 근육층은 내측의 윤상근과 외측의 종주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화관의 운동을 담당한다. 장막층은 소화관의 바깥층으로 장기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2024.09.18
-
급성담낭염2024.09.181. 담낭의 구조와 기능 1.1. 담낭의 위치와 크기 담낭은 간 하면의 담낭와에 고정되어 있는데, 그 위치는 제9~10늑연골 아래쪽으로 간 앞 가장자리에서 튀어나와 있다"" 담낭의 크기는 장경이 8cm 이하, 단경이 4cm 이하, 용량이 30~50ml 정도이다"".인체의 담낭은 간 아랫부분에 위치한 주머니 모양의 기관으로,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담낭의 정확한 위치는 제9~10늑연골 아래쪽으로, 간 앞 가장자리에서 약간 튀어나와 있다. 담낭의 크기는 길이인 장경이 8cm 이하, 폭인 단경이 4cm...2024.09.18
-
담석제거술 수술과정2024.09.171. 담낭 및 담즙의 기능 1.1. 담낭의 해부학적 구조 담낭은 흔히 "쓸개"라고도 부르며 간의 우엽 하면에 밀착한 가지 모양의 주머니 같은 구조로, 길이 7~10cm, 직경 2.5cm, 용량 30~35mL의 크기를 가진다.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저장하고 담즙의 수분을 흡수하여 최대 10배까지 농축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수축하여 담즙을 담낭관(cystic duct)을 통하여 총담관(common bile duct)으로 보내는 작용을 한다. 담낭은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1.2. 담즙의 생리적 작용 담즙의 생리적 작...2024.09.17
-
담석제거술 수술과정 상세하게2024.09.171. 서론 1.1. 담낭과 담즙의 구조와 기능 담낭은 간의 오른쪽 아래에 위치한 작은 주머니 형태의 기관으로, 길이는 약 7~10cm이며 폭은 2.5~3cm 정도이다. 담낭은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역할을 한다. 담낭에는 담즙을 저장하는 담낭 저부, 담즙이 담낭관으로 흘러가는 담낭관, 그리고 담낭과 총담관을 연결하는 담낭관이 있다. 담낭벽은 복막 외막, 근육층, 점막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낭의 주된 기능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하고 농축하는 것이다. 간에서 분비된 담즙은 간관을 통해 담낭으로 이동하며, 담낭에 저장되면서...2024.09.17
-
담낭절제술 case2024.09.111. 담낭질환과 담낭절제술 1.1. 담낭의 구조와 기능 담낭은 서양배 모양의 주머니 모양 기관으로 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다. 담낭의 크기는 약 7~10cm 정도이다. 담낭에서 나온 담낭관은 간의 간관(hepatic duct)과 합쳐져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이루며, 총담관의 담즙은 Oddi 괄약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Oddi 괄약근이 수축하거나 이완될 때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담낭에는 약 50~75mL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으며, 간에서는 ...2024.09.11